키오스크 앞 ‘눈치’…장애인 45%, ‘직원 주문’ 선호

경제·산업 입력 2025-08-09 08:00:08 수정 2025-08-09 08:00:08 김민영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보건복지부, 2021년 이어 두 번째 장애인차별금지법 실태조사

[사진=게티이미지]

[서울경제TV=김민영 인턴기자] 보건복지부는 장애인들은 맞춤 편의 기능이 부족한 탓에 키오스크보다는 사람을 통해 직접 주문하는 방식을 훨씬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9일 밝혔다. 

시각장애인의 경우 10명 중 7명이 직원에게 직접 주문하는 것을 더 편하게 생각했다. 보건복지부는 이런 내용을 담은 2024년 장애인차별금지법 이행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작년 10월부터 올해 1월 한국장애인개발원과 매트릭스를 통해 공공기관, 의료기관 등 기관 4114곳과 장애인 540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2021년 이후 두 번째로 한 이번 조사에서는 내년 1월 장애인차별금지법의 전면 시행을 앞두고 키오스크를 중심으로 장애인의 정보 접근권에 관한 차별 실태를 파악했다.

[사진=보건복지부]

이번 조사에서 키오스크 이용에 불편을 느꼈다고 답한 장애인은 모두 161명이었다. 이들은 무인주문기(80.1%), 무인결제(38.5%), 표 발권(32.3%) 순으로 이용에 불편을 겪었다.

이들은 '주문이 늦어져 뒷사람의 눈치가 보임'(54.0%), '버튼 위치를 찾기 어렵거나 메뉴 선택 및 이동이 어려움'(26.1%) 등의 불편을 호소했다.

[사진=보건복지부]

키오스크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장애인 277명에게 선호하는 주문·처리 방식을 물었더니 '직원에게 주문'(44.8%)이 '키오스크로 직접 주문'(20.6%)의 2배 수준으로 높았다.

직원에게 주문하는 것을 더 선호하는 비율은 시각장애(72.3%), 심한 장애(51.6%), 휠체어 이용(61.5%) 장애인 등에서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사진=보건복지부]

키오스크를 이용해 본 장애인은 이용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직원 배치 또는 호출벨 설치'(51.3%), '키오스크 이용이 서툰 이용자를 위한 전용 단말기 구역 마련'(51.3%), '인식 개선을 위한 캠페인'(44.4%) 등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에 따르면 장애인들이 이용하는 데 전혀 장벽이 없는 검증 받은 키오스크는 466대만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복지부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무인정보단말기 관련 제도 개선 방안을 마련하고, 장애인의 정보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melissa6888@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