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가세 간이과세 20년만에 손질…연매출·납부면제기준 상향 추진

정부가 20년째 동일하게 유지돼 온 부가가치세 간이과세 적용기준 금액을 상향해 간이과세 대상을 지금보다 더 늘리는 방안을 추진한다. 간이과세 사업자로 구분되면 일반과세 적용과 비교해 세금 납부 부담이 줄어든다.
6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정부는 이달 말 발표 예정인 올해 세법개정안에 부가세 간이과세 제도 개편안을 포함하기로 했다.
부가세 간이과세 제도는 영세·소규모 개인사업자의 납세 편의를 위해 연매출액 4천800만원 미만인 간이과세자에 대해 세금계산서 발급 의무 면제, 업종별 부가가치율(5∼30%) 적용 등 특례를 적용하고, 연매출액 3천만원 미만 간이과세자에게는 부가세 납부 의무를 면제해주는 제도다. 2018년 기준 간이과세 신고 인원은 전체 부가세 신고 인원의 약 24~29%이며, 간이과세자 중 부가세 납부의무 면제자 비중은 70~80% 사이다.
정부는 우선 부가세 간이과세 연매출액 기준을 상향하기로 방침을 정하고, 기준선을 어느 정도 수준까지 높일지 살펴보고 있다.
현재는 개인사업자 가운데 연간 매출액이 4천800만원 미만인 사업자를 간이과세자로 분류하고 있는데, 연 매출액 기준을 6천만원으로 상향하는 방안이 가장 유력한 선택지로 검토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경우 총 90만명이 1인당 연평균 20만∼80만원의 부가세를 지금보다 덜 내는 효과를 누리게 된다. 세수는 1년에 4천억원 수준이 감소할 것으로 추산된다.
연 매출액 8천만원도 정부가 검토한 또 다른 선택지다. 이 경우 총 116만명이 1인당 연평균 30만∼120만원의 부가세를 인하 받게 된다. 세수는 연간 7천100억원이 줄어든다.
앞서 정부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영세 자영업자들이 큰 타격을 입자 내년까지 2년에 걸쳐 연매출 6천만원 미만 사업자에 대해 간이과세자 수준으로 부가세를 경감해주는 방안을 추진했었다. 다만, 국회에서 특례 기간을 올해 말까지 1년으로 줄이고 대신 연매출 기준을 8천만원 미만으로 상향하기로 최종 결론이 난 바 있다.
아울러 정부는 현재 연매출 3천만원 미만 사업자에게 적용하는 부가세 납부 의무 면제 기준을 4천만원대로 상향하는 방안도 함께 살펴보고 있다. 이를 4천800만원 수준까지 올릴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앞서 정부는 코로나19 사태로 어려움을 겪는 영세 자영업자를 지원하기 위해 올해 한시적으로 연매출액 4천800만원 미만 간이과세자는 부가세 납부를 면제해주기로 한 바 있다.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오리온, 진천통합센터 착공…"글로벌 수출 전진기지"
- '꼼수 인상' 교촌치킨, 결국 중량 200g 늘려 원상복구
- 오뚜기, ‘향신료, 인류사를 수놓은 맛과 향의 프리즘’ 출간
- 현대백화점, 전국 식품관서 '상서단감' 판매
- 현대百, 2025 대한민국 조경대상 국무총리상 수상
- 중기부, 상생 문화 확산 위해 대기업과 상생협력 간담회 개최
- 에이아이트릭스, ISO 27001∙ISO 27701 국제표준 인증 동시 획득
- 북앤 라디오, ‘자다 깼더니 시가 되어 있었다’ 북콘서트 진행
- 홈플릭스, 시니어 레지던스로 ‘라이프테크’ 시대 열어
- 한국후지필름BI, 직장인 대상 AI·AX 솔루션 인식 조사 결과 발표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2030세대 10명 중 8명 COPD 모른다”…결핵및호흡기학회 대국민 인식도 조사
- 2"풍년과 번영 기원" 남원주당산제 26년 전통 잇다
- 3대한적십자사 천안시협의회, 전북 남원서 효도관광 행사 열어
- 4오리온, 진천통합센터 착공…"글로벌 수출 전진기지"
- 5장흥군 드림스타트, '다복가정' 일곱째 출산에 출산용품 지원
- 6'꼼수 인상' 교촌치킨, 결국 중량 200g 늘려 원상복구
- 7메드팩토, 중국 ‘TGF베타 심포지엄’서 MP010 파트너링 모색
- 8오뚜기, ‘향신료, 인류사를 수놓은 맛과 향의 프리즘’ 출간
- 9이대혈액암병원, 세포·유전자 처리센터 개설…"난치성 혈액암 치료 집중"
- 10유럽 심낭질환 첫 가이드라인에 삼성서울병원 연구 3편 인용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