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단지 내 소형 면적 1순위 청약 마감률 96%…“환금성 좋아 관심”

[서울경제TV=정창신기자] 주택시장에서 대단지 아파트 내 소형 면적의 가치가 높아지고 있는 모습이다.
15일 부동산114 자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전국에 공급된 1,000가구 이상 대단지에서의 전용 60㎡이하 소형 주택형 마감률은 96.61%(59개 주택형 중 57개)에 달했다.
개별 단지로 살펴보면 지난 6월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에 공급된 3,432가구 규모의 대단지 ‘수원 센트럴 아이파크 자이’ 내 전용 39㎡는 1순위 청약에서 8.79대 1의 경쟁률로 1순위 마감됐다. 이보다 앞서 5월 경기도 광명시에 분양한 ‘광명 푸르지오 센트베르’(1,335가구) 역시 전용 36㎡가 평균 120.19대 1의 높은 경쟁률로 1순위 마감에 성공했다.
업계에서는 이 같은 인기의 원인으로 대단지 아파트만의 장점 공유가 가능하다는 점을 손꼽는다. 1,000가구가 넘는 대단지 아파트는 주변으로 교통, 학군, 상권 등 풍부한 생활 인프라가 갖춰지는 것은 물론 단지 내부로도 운동시설, 휴게시설, 여가시설 등 다양한 커뮤니티가 조성된다. 또한 세대수에 따라 분담하는 공용 관리비 절감 효과도 볼 수 있어 주거만족도가 높다.
대단지 프리미엄을 누리는 소형 면적은 가격 상승도 가파르다. KB부동산시세 자료를 보면 서울시 강남구에 있는 1,444가구 규모의 ‘삼성힐스테이트1단지’(2008년 12월 입주) 전용 31㎡는 지난 1년 간(2019년 6월~2020년 6월) 평균 매매시세가 1억6,000만원(8억9,000만→10억5,000만원) 뛰었다.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의 ‘주공뜨란채’(2004년 11월 입주)의 경우 1,093가구 규모의 아파트다. 이 단지 전용 45㎡는 1년 새(2019년 6월~2020년 6월) 평균 매매시세가 6,250만원(3억5,750만→4억2,000만원) 상승했다.
업계 관계자는 “소규모 아파트에서나 볼 수 있던 전용 60㎡이하 소형 면적이 최근 대단지 아파트에 등장하면서 기존 소형 면적의 단점을 보완해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며 "대단지의 경우 주거편의성이 높기도 하지만 단지 규모만큼이나 환금성이 좋다는 점에서 투자자들도 주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csjung@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2025 문화도시 박람회 개최…서울 여의도 일대서 개최
- 공정위, 한화임팩트에 과징금 1억6000만원…'금산분리' 규정 위반
- 쿠팡풀필먼트서비스, 충청 지역 독립유공자 후손에 ‘와우 기프트’ 전달
- 신미숙 홀트아동복지회 회장, 몽골 친길테 구청으로부터 공로훈장 수상
- 팀네이버X에이에스티홀딩스, 사우디 디지털 전환 위한 플랫폼 사업 성과
- SBA, 뷰티복합문화공간 ‘비더비’ 새단장
- 비건 PDRN 담은 마스크팩…미나글로벌, 스킨케어 브랜드 '티아브' 론칭
- 대웅제약 나보타, 콜롬비아 341억 규모 수출 계약
- 트럼프 "美 빅테크 규제국에 추가 관세 부과"
- kt cloud, ‘AI Foundry’ 파트너십 확대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2025 문화도시 박람회 개최…서울 여의도 일대서 개최
- 2경기도 하나되는 체육축제, "파주 개최"
- 3연천군, ‘은대리문화벽돌공장’ 문화예술공간 재탄생
- 4의정부시, 반환공여지 ‘경제자유구역’ 전략 본격화
- 5공정위, 한화임팩트에 과징금 1억6000만원…'금산분리' 규정 위반
- 6쿠팡풀필먼트서비스, 충청 지역 독립유공자 후손에 ‘와우 기프트’ 전달
- 7아리바이오 “먹는 치매 국산 신약, 성공 기대 커졌다”
- 8캔버스엔, 인수 주체는 자본잠식社 오너…딜 성사 '불투명'
- 9류마티스·건선 등 만성 염증, 유전자 스위치 조절해 잡는다
- 10신미숙 홀트아동복지회 회장, 몽골 친길테 구청으로부터 공로훈장 수상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