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도시 자체 배출 이산화탄소량 국내 최초 산정

[서울경제TV=서청석기자] 서울시는 지난해 7월부터 올해 2월까지 서울시내 4곳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관측하여 비교한 결과, 서울 도심은 배경 지역에 비해 여름철에는 27 ppm, 겨울철에는 20 ppm 높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조사로 도시 내부의 자체 배출로 증가하는 이산화탄소를 말하는 ‘도시 증가분(urban enhancement)’을 국내 최초로 규명했다.
이산화탄소는 폭우와 같은 기후변화를 초래하는 주원인으로 화석연료의 사용을 비롯하여 사람의 활동으로 배출된다고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실제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양을 측정하여 도심과 배경 지역의 농도를 비교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진은 도시 내 건물 난방 및 교통을 주원인으로 추정했다.
연구 결과는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과 서울대학교 기후융합과학연구실(교수 정수종)이 지난해 5월 서울시의 온실가스 모니터링 및 연구를 위한 협약을 맺고 공동 연구를 추진한 결실이다. 이를 위해 관악산, 남산서울타워 하층부에 설치된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관측지와 용산, 남산서울타워 상층부에 설치된 서울대학교 관측지에서 이산화탄소 농도를 관측했다.
서울 중심에 위치해 이산화탄소의 인위적 배출 영향 관찰에 적합한 용산 관측지에서 가장 높은 농도인 448 ppm을 나타냈고, 해발 630 m에 위치해 배경 지역을 대표하는 지점인 관악산은 423 ppm 으로 도심이 배경 지역보다 최대 24 ppm 높았다. 이산화탄소 농도는 용산 448 ppm, 남산 하층부 444 ppm, 남산 상층부 434 ppm, 관악산 423 ppm 순으로 높았다. /blue@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행동하는 양심' 김대중, 고향 하의도서 다시 만나다
- 인천시, 미국 통상 압박에 어떻게 대응하나
- 화성특례시, 농·축·수산 분야 기관 현장 목소리 청취
- 신성영 인천시의원 “주민·산업 중심 공정 정책 필요”
- 인천시, 인천대로 지구단위계획 재정비…원도심 활성화 해법 될까
- 부천시, 현장 중심 매뉴얼 개정…실무 혁신 나선다
- [기획] 장애인 인구 60%가 고령층..."경기도, 일자리 해법 찾을 때"
- 안양시, 노후 인조잔디 폐기비용 1.5억 절감
- 장흥군, '전국 최고 건강문화도시'로 우뚝 서다
- 강원특별자치도의회, 강원특별자치도·도교육청 을지연습장 찾아 훈련 관계자 격려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행동하는 양심' 김대중, 고향 하의도서 다시 만나다
- 2인천시, 미국 통상 압박에 어떻게 대응하나
- 3화성특례시, 농·축·수산 분야 기관 현장 목소리 청취
- 4신성영 인천시의원 “주민·산업 중심 공정 정책 필요”
- 5인천시, 인천대로 지구단위계획 재정비…원도심 활성화 해법 될까
- 6부천시, 현장 중심 매뉴얼 개정…실무 혁신 나선다
- 7장애인 인구 60%가 고령층..."경기도, 일자리 해법 찾을 때"
- 8안양시, 노후 인조잔디 폐기비용 1.5억 절감
- 9쿠팡, 대만서 K-중기 브랜드 기획전…“판로 지원 확대”
- 10장흥군, '전국 최고 건강문화도시'로 우뚝 서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