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물가 0.7%↑…장마에 식품 가격 급등
[서울경제TV=문다애 기자]
[앵커]
지난달 역대 최장기간 장마로 채소류 등 식품가격이 급등하면서 소비자물가에 빨간불이 커졌습니다. 특히 농·축·수산물 가격은 3년 만에 가장 많이 올랐는데요. 이로 인해 식품업계가 줄줄이 가격을 인상하고 나섰습니다. 다만 코로나19 여파로 여전히 0%대 저물가는 계속되고 있습니다. 문다애기자입니다.
[기자]
역대 최장기간 장마와 집중호우로 출하가 줄어든 채소 가격이 크게 오르며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지난 3월 이후 최대로 상승했습니다.
통계청은 8월 소비자물가 지수가 105.50(2015=100)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0.7% 상승했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3월 1.0% 이후 최대 상승폭입니다.
소비자물가의 상승에는 농·축·수산물 가격 상승이 주효했습니다.
농·축·수산물은 지난 2017년 8월(10.7%) 이후 가장 큰 상승률(10.6%)을 기록했고, 이로 인해 전체 소비자물가가 0.81% 올랐습니다.
그중에서도 농산물이 12.1% 올랐고 이 중 채소류가 28.5% 올랐습니다. 채소류 상승폭은 지난 2016년 11월(32.9%) 이후 최대입니다.
축산물과 수산물도 각각 10.2%, 6.4% 상승했습니다.
이처럼 각종 식자재의 가격이 오르며 최근 식품업계가 잇따라 제품가격을 인상하고 있습니다.
오뚜기는 최근 즉석밥 3종의 가격을 평균 8% 인상했습니다. 오뚜기밥 기준으로 710원에서 770원으로 60원이 올랐습니다.
롯데제과 역시 목캔디와 찰떡파이의 가격을 평균 10.8% 인상하기로 했습니다. 소용량 목캔디는 200원 오르고, 대용량 목캔디 제품과 찰떡파이는 용량을 축소합니다.
앞서 롯데제과는 지난 6월에도 나뚜루 아이스크림 가격을 평균 10.5% 올린 바 있습니다.
이처럼 소비자물가는 올랐지만 지난 4월 이후 0%대 저물가 기조는 계속되고 있습니다.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근원물가)는 지난달 0.8% 상승했습니다.
상승폭이 올해 1월(0.9%) 이후 가장 크지만, 지난해 8월 이후 13개월 연속 0%대에 머물러 있는 수치입니다.
통계청은 이에 대해 “국제유가 인하에 따른 석유류 가격 하락과 도시가스 인하, 고교 납입금 지원과 유치원 납입금 지원 확대 등에 따른 공공서비스 하락,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영향 때문”이라고 분석했습니다./문다애기자 dalove@sedaily.com
[영상편집 강현규]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국감 출석 MBK 김병주…“홈플러스 회생 책임 다할 것”
- SK그룹, 中企에 핵심 기술 이전…“사업화도 지원”
- “구관이 명관”…게임업계, 신작 흥행 부진에 전략 선회
- LG전자, 인도 증시 입성…“1.8조 자금 미래성장 투자”
- “중견사 첫 자력 회생”…신동아건설, 법정관리 졸업
- 삼성전자, 3분기 영업익 12.1조 ‘깜짝 실적’…매출 ‘사상 최대’
- 스테이블케이, 패스페이와 국경 간 스테이블코인 협력 전략적 공조
- 콜마BNH, 이승화·윤상현·윤여원 3인 각자대표 체제 본격 가동
- 수앤파트너스, 대만 아시아 태평양 투자 및 혁신 개발 협회와 MOU
- 더네이쳐홀딩스 ‘내셔널지오그래픽 어패럴’, 가을 프로모션 진행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이상일 용인특례시장, 등굣길 교통지도 참여
- 2BPA-부산 남구-신선대감만터미널, '2025년 행복나누기 사업' 맞손
- 3국민의힘 대구시당 여성위원회, 영덕군 취약계층 지원 위해 성금 기탁
- 4대성에너지, “쓰담쓰담 : 마음을 쓰고 희망을 담다” 후원행사 참여
- 5계명문화대학교, 감성 휴식공간 ‘Cafe, 쉼’ 오픈
- 6영남이공대, ‘클로버의 시험 응원 간식 DAY!’로 재학생 응원
- 7화성E&A 신철범 대표, 영남대 본관에 LED 전광판 기증
- 8경주시, ‘환경통합관제센터’ 개소…첨단 환경관리 체계 가동
- 9김천시, 낭만 가득한 가을.. 클래식으로 물들다
- 10수원시 '지구를 위한 도전' 시민들과 챌린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