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매시장, 아파트 인기에 낙찰가율 반등
경매시장서 아파트 인기…낙찰가율 83%
서울 아파트, 경매시장서도 ‘귀한 몸’
김포·파주·울산·부산 등 풍선효과 나타나
김포 규제지역되자 파주로 풍선효과 이동

[앵커]
올 한 해 경매시장은 주거시설의 인기가 두드러졌습니다. 경매에 참여한 10명 중 6명은 주거시설에 응찰할 정도라고 하는데요. 그중에서도 아파트의 독주가 두드러집니다. 정부 규제를 피해 경매시장까지도 풍선효과가 나타났다는 분석입니다. 지혜진 기자입니다.
[기자]
경매시장도 결국 아파트였습니다.
지지옥션은 올해 주거시설 낙찰가율이 83%로 반등에 성공했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서울 아파트는 낙찰가율 100%를 넘어서기도 했습니다. 낙찰가율은 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로 경매시장에서도 서울 아파트가 높은 가격에 거래됐다는 뜻입니다.
실제 올해 10월 서울 아파트 낙찰가율은 역대 최고치인 111.8%를 기록했습니다. 11월과 12월에도 108.4%, 110%로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중입니다.
낙찰가율이 올라간 데에는 물건이 귀한 까닭도 있습니다. 올해 서울 아파트 경매 진행건수는 660건으로 지난해(1,064건)보다 38% 줄었습니다.
규제를 피하기 위한 수요자들의 움직임이 풍선효과를 만들어 내기도 했습니다.
올해 4분기 들어서 김포, 파주, 울산, 부산 등이 경매시장에서 급부상한 겁니다.
대표적으로 김포 아파트는 올 8월까지 90% 초중반대를 보였으나, 9월부터 100%를 넘겼습니다. 11월에는 131.2%까지 치솟았습니다. 약 4개월여만에 40%포인트 오른 겁니다. 김포가 조정대상지역이 된 이후에는 파주 지역의 아파트 낙찰가율이 100%를 넘기기도 했습니다.
전문가들은 내년에도 코로나19가 변수긴 하지만 올해와 마찬가지로 규제를 피하려는 아파트 수요는 여전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싱크] 장근석 / 지지옥션 팀장
“올해 상황을 봐서는 내년에도 비슷한 어떤 규제를 회피하고자 하는 움직임들은 지속적으로 경매시장에…아무래도 아파트에 대한 인기는 서울뿐만 아니라 지방에서도 계속, 내년에도 이어지리라고 생각이 듭니다.”
서울경제TV 지혜진입니다.
[영상편집 김준호]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KT, 나라사랑 카드 발급 플랫폼 구축
- kt 스튜디오지니·드라마박스 '맞손'…"숏폼 드라마 극본 공모전"
- 현대모비스, 학교스포츠클럽에 ‘양궁’ 정식종목 추진 앞장
- 롯데이노베이트, 어르신들 청춘 찍는 AI 사진 봉사 진행
- GM한국사업장, 하계 휴가철 무상점검 캠페인 실시
- 롯데칠성음료, 고용노동부 '노사문화 우수기업' 선정
- 한전, 국가전력망 확충 해법 모색…"대국민 아이디어 공모"
- '트럼프 관세'에 철강업계 2분기 고전…하반기 반등할까
- 비트코인, 11.9만달러 첫 돌파…美 법안 통과 기대
- 워커스하이, 상반기 매출 50억 원 돌파...매출 300% 성장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하나은행, 모바일 신분증 민간개방 참여기업 최종 선정
- 2경북도 이철우 도지사, 암 진단 후 첫 공식회의. . .“산불피해지역 재창조 의지 밝혀”
- 3경북도, '울진 금강송 산지농업시스템’ 세계중요농업유산 등재
- 4경북도, ‘포항 첨단해양R&D센터’ 개관식 개최
- 5경북도, 국정기획위에 ‘초광역 연합도시’ 등 핵심 현안 건의… 새정부 정책 대응 총력
- 6경북도, 2년 연속 ‘새뜰마을사업’ 전국 최다 선정…산불피해 마을 포함 정비 추진
- 7경북도, 김민석 총리 "2025 APEC 정상회의 현장점검"
- 8부산시, '광복 제80주년' 독립유공자들이 항일 독립운동 사적지 탐방
- 9영남이공대, 글로벌 캡스톤디자인 해외연수 통해 실무형 글로벌 인재 양성 박차
- 10경북테크노파크, 친환경 경량소재 적용 미래차 부품 전환 생태계 기반구축 시제품제작 2차 수혜기업 모집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