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사, '자금세탁 의심거래' 3일내 보고…25일부터 시행

[서울경제TV=정순영 기자] 가상자산 사업자가 암호화폐와 현금 간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을 경우 실명계좌가 없어도 된다.
금융정보분석원(FIU)은 이같은 내용으로 ‘특정 금융거래정보 보고 및 감독규정’을 개정 완료했다고 22일 밝혔다.
특금법에선 가상자산 사업자에게 실명 확인 입·출금 계정 사용을 의무화하고 있지만, 감독규정 개정안은 실명 확인 입·출금 계정 확보 의무의 예외 사유로 ‘가상자산과 금전의 교환 행위가 없는 가상자산 사업자’로 규정했다.
또 가상자산의 매매·교환 거래 체결 시점에서 가상자산 사업자가 표시하는 가액을 적용해 원화 환산 금액을 산출하고, 고객으로부터 가상자산 전송을 요청받을 때 가상자산 사업자가 표시하는 가액을 적용해 원화 환산 금액을 산출한다.
다른 사업자의 고객 간 가상자산 매매·교환 중개도 제한적으로 허용되지만 국내나 해외에서 인허가 등을 거친 사업자로 다른 가상자산 사업자의 고객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을 때만 가능하다.
거래 내역 파악이 곤란해 자금세탁 위험이 큰 다크코인의 경우 가상자산 사업자의 취급이 금지된다.
금융회사 등의 의심 거래 보고와 관련해선 현재 ‘지체 없이’에서 앞으로는 책임자가 ‘의심되는 거래 보고 대상 금융거래 등’으로 결정한 시점부터 3영업일 이내에 FIU에 보고해야 한다.
개정 특정금융정보법은 오는 25일부터 시행된다./binia96@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관련뉴스
- "상법 추가 개정시, 이사 7명 중 최대주주 몫 최대 3명 그쳐"
- 국민은행, 'KB희망금융센터' 연내 신설…"취약계층 재기 지원"
- 외국인, 지난달 코스피 6조 '쇼핑'…1년 5개월 만에 최대
- 소득세·상속세 중장기 과제로 밀리나…부동산세는 다음 순번?
- 보험도 '생산적 금융' 확대…첨단산업 투자 때 자본규제 완화
- 상폐 요건 강화하는 금융당국…'좀비 기업' 향방은?
- 신한투자증권, 글로벌 외환 핀테크 기업 '스위치원'과 MOU
- 금융위, 중대재해기업 대출제한 검토…은행권 '난감'·건설업계 '긴장'
- 업비트·빗썸 코인 대여 제동…당국 TF 꾸려 규제 착수
- "사고 싶어도 못 사요"…플랫폼 한계에 'K쇼핑' 문턱 못넘는 외국인들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BPA, '해범이와 뿌뿌', 전국 지자체·공공캐릭터 공모전 본선 무대 올라
- 2우재준 의원, 대구북구갑 당원협의회 일원과 경남 합천서 수해봉사 진행
- 3차규근 의원, ‘폭염 살인 방지법’ 발의
- 4대구상수도사업본부, 달성군 하빈면 전역 및 다사읍 일부 지역 흐린물 출수 예상
- 5신한금융 "장기연체 고객 이자 감면"…'헬프업&밸류업' 확대
- 6산업부, AI 기반 차세대 신약 설계·제조 R&D에 374억 지원
- 7중소·중견기업, 수출확대 위해 고려하는 신규시장 1순위 '미국'
- 8현대차, 넥쏘 비용 지원 프로그램…할부금 유예·충전비 지원
- 9"상법 추가 개정시, 이사 7명 중 최대주주 몫 최대 3명 그쳐"
- 10LG, 美 바이오 투자 가속화…투자액 5000만달러 넘어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