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과 대화"…SKT, 국립국어원과 AI한국어 모델 개발 협력

[서울경제TV=윤다혜기자] SK텔레콤이 7일 국립국어원과 업무 협약을 체결하고, 국립국어원의 언어 정보를 활용하여 한국어에 최적화된 차세대 인공지능(AI) 언어 모델을 개발하기로 했다.
차세대 AI 한국어 모델은 사람의 능력 수준으로 평가되는 GPT-3와 유사한 성능을 발휘하는 한국어 범용 언어 모델로, 언어 관련 문제풀이, 글짓기, 번역 및 주어진 문장에 따라 간단한 코딩을 수행할 수 있는 GPT-3의 기능을 한국어에서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GLM은 일상의 감성대화, 다양한 업종의 고객센터 대화 뿐 아니라 시사, 문학, 역사, 게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영역의 언어 활동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산업 분야에 추가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SKT는 기대하고 있다.
SKT가 개발하는 GLM은 1,500억개의 매개변수를 가진 거대 언어 모델로 개발될 예정이다. 최신 언어 모델인 GPT-3가 1,750억개의 매개변수를 가지고 있어 이전 버전인 GPT-2보다 100배 이상 크고, 보다 높은 정확도와 넓은 활용도를 갖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GLM은 한국어 AI 언어 모델의 결정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SKT는 올해 말까지 GLM을 개발하여 내부 서비스를 통해 모델 성능을 검증한 후 상용화를 진행할 예정이며, 다양한 서비스에도 적용할 계획이다. 또, 한국어 언어모델 성능 평가 방법 개발 및 한국어 데이터 품질 평가 연구도 추진할 예정이다.
SKT는 2018년부터 AI 언어모델을 개발해 왔으며, 2019년 KoBERT를 개발하여 챗봇 등에 활용하고 있다. 이와 함께 국립국어원은 2021년 국어 정보처리 시스템 경진대회’를 SKT의 AI 언어 모델을 활용하여 AI의 언어소통 능력을 겨루는 방식으로 개편하여 한글 주간에 개최하기로 했다.
SKT 데이비스 에릭 하트먼 Language Superintelligence Labs장은 “SKT는 한국어에 최적화된 인공지능 언어모델을 선제적으로 개발하여 한국어의 정보화에 이바지하고 있다.”며, 이번 국립국어원과의 협력을 계기로 한국어의 과학화, 세계화에도 기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yunda@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다원메닥스, 차세대 중성자치료기로 코스닥 상장 도전
- 뉴메코, 보툴리눔 톡신 제제 ‘뉴럭스’ 볼리비아 품목허가 획득
- CJ온스타일, AWS와 라방 AI 챗봇 'AiON' 공동 개발
- 효성, 장애 아동 가족과 강원도서 2박 3일 힐링 여행
- ‘콜라보’부터 ‘프리미엄’까지…CJ제일제당, 추석 선물세트 선봬
- 결혼정보회사 '듀오', '슈카월드' 협업 영상 52만 조회수 달성
- 사망사고 지속 발생 건설사, 등록 말소·영업익 5% 과징금
- 제너시스BBQ, ‘2025 추석 선물세트’ 출시
- 경총 "강력한 엄벌주의 기조, 중대재해 예방에 효과적인가"
- 설화수, ‘추석엔 설레는 설화수와 함께’ 프로모션 진행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보성군, 제2회 군수배 전국 산악자전거대회 개최
- 2한국남동발전, 경남에 수익공유형 태양광사업 본격 추진 새창으로 읽기
- 3다원메닥스, 차세대 중성자치료기로 코스닥 상장 도전
- 4진도군, 폭염대비 도급업체 대상 중대재해 예방교육 마무리
- 5 목포시, 제35회 전남도 교육감기 육상대회 마무리
- 6뉴메코, 보툴리눔 톡신 제제 ‘뉴럭스’ 볼리비아 품목허가 획득
- 7완도군, 양성평등주간 기념행사 마무리
- 8신안군, ‘생명나눔 희망의 씨앗 캠페인’ 마무리
- 98월 코픽스 0.02%p 하락…주담대 변동금리 11개월째 ↓
- 10CJ온스타일, AWS와 라방 AI 챗봇 'AiON' 공동 개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