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플러스] 조남희 “과도한 가계부채 관리 멈춰야”

▲진행: 서정덕앵커
▲출연: 조남희 금융소비자원장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정확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해 주시기 바랍니다.
[앵커]
금융당국이 가계부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택담보대출과 신용대출 등을 억제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전세 대출도 규제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가을 이사철을 맞은 서민들은 불안해하는 분들이 많은데요.
당국의 규제는 결국 대출조건을 더 까다롭게 하거나, 이자를 올리는 방식이어서 은행만 안전하게 배불리고, 금융소비자만 벼랑끝에 내몬다는 비판도 나옵니다.
대출 규제 원인, 실수요자 피해 우려, 대출 정책 방향 등 조남희 금융소비자원장님과 얘기 나눠 보겠습니다. 원장님 안녕하십니까?
[앵커]
요즘 대출 쪽이 시끄러워요. 가계부채 대책으로 금융당국이 대출 조이기에 나서면서 금리를 올리고 일부 은행들은 대출 중단 등을 하고 있는데요. 이렇게까지 온 이유, 어떻게 보시나요.
[앵커]
은행권이 대출 문을 걸어 잠그자, 2금융권에 수요가 쏠리는 풍선효과를 막기 위해 2금융권도 대출 억제에 나섰는데요. 문제는 2금융권을 이용하는 차주 대부분이 신용이 안 좋고 급전이 필요한 경우가 대다수라 우려가 커지고 있어요.
[앵커]
가을 이사철을 앞두고 실수요자들이 대부분인 전세대출 규제도 강화할 것이라는 얘기가 있는데요. 이에 대해 어떻게 보시는지요.
[앵커]
금융불균형 해소란 얘길 하지만 당국의 대출 규제가 집값 잡기란 시각이 많아요. 집값이 잡힐 수 있을지도 의문인데다가, 일각에서는 부동산 대책의 실패가 금융권으로 옮겨 가는 건 아닌지 우려의 시선도 있어요.
[앵커]
가계부채는 매년 문제가 되어왔고 금융당국의 이 같은 규제는 결국 은행권 배불리고 서민들의 이자 부담만 느는 건 아닌지 걱정이 되는데요. 다른 방안도 있을까요.
[앵커]
금융당국이 추석 이후에 전세대출을 포함한 추가 가계대출 관리대책을 내놓을 예정인데요. 가계부채 관리를 위한 정책 방향은 어떻게 잡아야 될까요.
[앵커]
원장님, 오늘 시간 내 주셔서 감사합니다.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하나은행, 오프라인 마이데이터ㆍ오픈뱅킹 서비스 시행
- 우리아메리카은행, 美 텍사스 오스틴지점 개점
- SC제일은행, 압구정 프라이빗 뱅킹 센터 개설
- 민병덕 민주당 의원 "김병주 MBK 회장, 무책임 넘어 국민 조롱"
- 이수그룹-류현진재단, 전국 초·중·고 야구부에 훈련용품 지원
- 한국피아이엠 "휴머노이드 로봇 손 소재 상용화 논의"
- 그린플러스, 29억 원 규모 청년 스마트팜 수주
- IBK기업은행, 한국계 은행 최초 폴란드법인 영업인가 취득
- 빗썸, 신세계사이먼 프리미엄 아울렛 '릴레이 팝업 부스' 성료
- 핀테크AI 협의회 초대 회장에 이혜민 핀다 공동대표 선출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이천시, '2025첨단방산드론 페스티벌' 개최
- 2인천교육청, 장애학생 예술인재 무대로 시민과 만나다
- 3인천 강화군, 섬 어르신 여객선 운임 부담 해소
- 4경상원, 전통시장·골목상권 매니저 역량강화 교육 마무리
- 5인천시의회 신충식 의원 “체육회 재정 불안, 시민 건강권 위협”
- 6나우비긴 스마트 경로당 "소통 프로그램으로 고령층 고립 완화"
- 7하나은행, 오프라인 마이데이터ㆍ오픈뱅킹 서비스 시행
- 8우리아메리카은행, 美 텍사스 오스틴지점 개점
- 9SC제일은행, 압구정 프라이빗 뱅킹 센터 개설
- 10민병덕 민주당 의원 "김병주 MBK 회장, 무책임 넘어 국민 조롱"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