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넨셀, 경구용 코로나 치료제 ‘ES16001’ 임상 2b/3상 신청
증권·금융
입력 2021-10-12 09:45:08
수정 2021-10-12 09:45:08
배요한 기자
0개
회사 관계자는 “현재 유럽연합을 중심으로 하는 ‘ES16001’의 글로벌 임상을 준비 중인데, 이번 국내 임상이 그 시작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ES16001’은 국내 자생 식물 담팔수 잎에서 추출한 신소재 기반의 코로나19 치료제 후보물질로, 지난해 인도에서 제2상 임상시험을 실시해 탐색적 유효성을 확인한 바 있다.
이번 임상에서는 초기 감염 환자들의 중증 진행을 막아 입원율과 사망률을 낮추고, 무증상 상태에서 치료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출 예정이다.
‘ES16001’은 처음에 경희대 바이오메디컬연구센터에서 농림축산식품부 국책과제를 통해 대상포진 치료제로 개발됐다.
또한 경증 및 증등증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경구용 제제라는 점과 치료뿐 아니라 예방 용도로 적응증을 확대할 계획이라는 점은 유사하다.
한편 강세찬 교수는 ‘ES16001’ 외에 또다른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 후보물질인 에이피알지의 ‘APRG64’ 개발 컨소시엄도 맡고 있다.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관련뉴스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삼성카드, '디 아이디 퍼스트' 출시
- 2NH농협카드, 쌀 특화 카드 '미미카드' 3만좌 돌파
- 3구리시, 2026년 예산 7,437억…‘민생·성장·교통’ 6대 방향 제시
- 4구리시, 21일 ‘마신는 축제’ 시작…8개 상권 릴레이
- 5하남시, ‘사계절 황톳길’ 12월부터 겨울 운영 개시
- 6인천항만공사, 지역 발전 정책 머리 맞대
- 7인천시의회 이단비 의원 “동암역 정비, 버스정류장까지 묶어야”
- 8인천시, 송도에 퍼듀대 글로벌 캠퍼스 유치 나선다
- 9인천시, 방위식 명칭 공공기관 정비…“지역 정체성 강화”
- 10남양주시, 2026년 본예산 2조3,458억 편성…민생·교통·복지 중점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