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월 의장 유임이 오히려 긴축우려 키웠다…나스닥 1.26%↓

[서울경제TV=서정덕기자] 뉴욕증시가 혼조세로 마감했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 의장의 유임이 결정에 상승폭을 키웠지만, 인플레이션 타파를 최우선으로 삼겠다는 발언이 지수를 끌어 내린 것으로 보인다.
22일(현지시간)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7.64포인트(0.05%) 올라 3만5,619.62에 마감했다. 반면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15.03포인트(0.32%) 내려 4,682.93을 기록했고, 나스닥도 202.68포인트(1.26%) 급락하며 1만5,854.76에 거래를 마감했다.
이날(현지시간 22일) 시장은 파월 연준 의장의 거취에 주목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미국 연준 차기 의장과 부의장에 현직인 파월 의장과 리엘 브레이너드 연준 이사를 지명했다.
파월 의장의 유임 결정은 미국 경제의 회복 과정에서 통화정책 안정성과 연속성이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며 장 초반 안도랠리를 이어갔다.
하지만, 파월 의장이 “인플레이션 타파를 최우선으로 삼겠다“고 밝히는 등 연임 이후 긴축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커졌다는 분석이 제기되며 국채 금리가 1.62%대까지 급등했고,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의 낙폭이 상대적으로 컸다.
이에 엔비디아(-3.12%)를 비롯해 아마존(-2.83%), 메타(-1.24%), 알파벳(-1.76%) 등이 상승폭을 모두 반납했고, 애플(0.29%), 테슬라(1.67%) 등도 상승폭을 축소했다.
한편, 리비안은 포드와 협력이 결별됐다는 소식에 전일에 8.16% 폭락했고, 루시드 역시 7.35% 하락 마감했다.
국제 유가는 상승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1월물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 거래일대비 0.81달러(1.07%) 오른 배럴당 76.75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smileduck29@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금융위 이억원 · 금감원 이찬진...'원팀' 생산적 금융 대전환 이루나
- 민병덕 "MBK 홈플러스 인수에 6000억 이상 공적자금 투입…엄중 수사 필요"
- 은행권 경계 허무는 '임베디드 금융' 뜬다
- “유커 돌아온다”…호텔·카지노株 최대 수혜?
- 한화생명, 이익 급감…해외 확장 전략 부담
- 나라셀라, 2분기 매출액 185억…전년比 4.8%↑
- 센코, 상반기 매출 159억 원…대외 변수 속 안정적 성장
- 그린플러스, 국내 스마트팜 수주 호조…상반기 매출 23.5% 성장
- KS인더스트리 “9월 임시주총 소집…이사 선임 안건 등 추진”
- 알엔투테크놀로지, 2분기 매출 44억…전년比 72.9%↑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포항시, 반려견과 함께 즐기는 ‘흥환 애견동반 해수욕장’ 첫 개장
- 2포항 중앙상가 영일만친구 야시장 화려한 개막, 원도심 상권 회복 신호탄
- 3경주시, APEC 앞두고 TF 운영 강화..“체감형 손님맞이 서비스 만든다”
- 4日 시민단체 "강기정 시장 영단에 진심으로 감사"
- 57월 집중호우 피해액 1.8조 확정…복구비 2.7조 투입
- 6LG, '2024 ESG 보고서' 발간…"준법경영 고도화"
- 7특검, 내일 김건희·김예성 동시 소환
- 8동서알미늄, 2년 연속 따뜻한 나눔 실천. . .북구 저소득층 위한 주방용품 900개 기탁
- 9대구 북구, 미진학 고교생 취업 지원 위해 손잡다
- 10한국자유총연맹 대구북구지회, 나라사랑 태극기 운동 성공 기념식 개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