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증시]오미크론에 변동성 커진 코스피…2,960선 마감

[앵커]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오미크론 확진자가 국내를 비롯해 세계 전 대륙에 퍼졌습니다.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의 긴축 행보까지 더해지며 글로벌 증시 변동성이 심화됐는데요, 연일 낙폭을 키우던 국내 증시는 다행히 주 후반 3거래일 연속 상승하며 2,960선을 회복했습니다. 한 주간의 증시 흐름 앵커리포틉니다.
     
[기자]
코로나19 변종 바이러스 오미크론은 우리나라를 비롯해 미국과 노르웨이, 사우디아라비아에서도 확진자가 나오며 1주일 만에 전 세계 29개 국가로 번지고 있습니다.
     
특히 지난 1일(현지시간) 남아프리카공화국을 여행한 뒤 돌아온 미국인이 오미크론 확진이 밝혀지며 당일 뉴욕증시는 일제히 급락하기도 했습니다.
     
여기에 제롬 파월 미국 연준(연방준비제도) 의장이 상원 청문회에 출석해 이틀 연속 인플레이션 압력에 대한 우려를 강조하며 긴축 수위를 높인 부분도 글로벌 증시에 하방 압력을 높였습니다.
     
코스피 역시 주 초반 2,820선까지 밀렸지만 저가 매수세 유입에 반등에 성공하며 한 주간 1.09%(2,968.33p) 상승했습니다. 반면 코스닥은 0.74% 하락하며 998.47p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한 주간 수급 동향을 살펴보면 코스피는 개인(-22,301)이 대량 매도했지만 기관(541)과 외국인(19,055)이 매수했고, 코스닥 역시 개인(-6,250)이 매도한 가운데 기관(2,400)과 외국인(4,171)이 매수했습니다.
     
오랜기간 횡보하던 대형주에 외국인 매수세가 유입되며 일제히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대장주 삼성전자는 주 초반 급락세를 다시 되돌리며 7만5,600원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반면 국내 코로나 확진자 수 증가와 오미크론 등에 급등세를 보이던 진단키트 관련주는 차익실현 매물에 변동성이 커졌습니다.
     
증권업계는 극단적 상황을 가정하지 않는다면 오미크론으로 인한 ‘패닉’ 가능성은 낮다고 보고 있는 가운데, 지수 하단(2,800p)을 이탈한다면 오히려 매수 기회로 삼는 것는 조언합니다. 서울경제TV 서정덕입니다. /smileduck29@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삼성생명, 3분기 DC·IRP 원리금보장형·비보장형 수익률 1위
- NH투자증권, ‘부동산트렌드 2026’ 부동산 특강 진행
- BNK금융, 3분기 누적 순익 7700억원…전년比 9.2%↑
- LG이노텍, 3분기 호실적에 점유율 우려 줄어…목표가↑-NH
- 제이케이시냅스, 1년만에 또 감자…"CB 물량 쏟아질라"
- 국감서 불거진 차기 회장 선임 절차 논란…BNK "금감원 모범관행이 기준”
- KB금융, 3분기 만에 '5조 클럽' 입성…'리딩뱅크'도 탈환 성공
- 오경석 두나무 대표 "블록체인 혁명, 한국의 기회"
- 생산적 금융 본격화하나…금융권, 조직개편 박차
- 협상 타결에 증시도 '미소'…수혜업종 동반 급등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삼성전자, 제56주년 창립기념식 개최
- 2계명문화대, RISE 사업 일환으로 청년 창업 역량 강화 및 지역 창업생태계 활성화 도모
- 3쿠팡, ‘대한민국 소상공인 대회’서 AI 기반 소상공인 성장 사례 소개
- 4롯데웰푸드, 성수동에 자일리톨 팝업스토어 열어
- 5부산교육연수원, 초등 교감·교사 미래교육 리더십 아카데미 운영
- 6경상원, '소공인 박람회'로 경제 활성화나서
- 7인천교통공사, PM 배터리 화재 대응 ‘실전형 합동훈련’
- 8인천시의회 정해권의장, 의용소방대원 대응 능력 격려
- 9부천시, 루미나래 시민 체험의 장으로 선보여
- 10인천시, 시민 참여형 장터로 농가 판로 확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