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日 재진출…“전기차·온라인판매로 승부”

[앵커]
현대자동차가 12년 만에 일본 시장 재진출을 공식 선언했습니다. 지난 2009년 일본 내수시장의 벽을 넘지 못하고 철수했는데요. 전기·수소차와 온라인 판매를 앞세워 다시 한번 일본 소비자 공략에 나선다는 전략입니다. 장민선 기자입니다.
[기자]
현대자동차는 어제(8일) 일본 도쿄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일본 승용차 시장에 다시 진출한다고 공식 발표했습니다.
지난 2009년 말 철수한 이후 약 12년 만입니다.
이번에 현대차는 전기·수소차 등 친환경 차와 온라인 판매를 내세웠습니다.
일본 내수시장은 하이브리드와 내연기관차 중심으로 전기차 비중이 1%밖에 안되는 상황.
여기에 일본 소비자들 사이에서도 전기차 수요가 급증하고 있고 현대차가 글로벌 시장에서의 친환경 차 점유율을 확대해가고 있다는 점도 일본 시장 재진출의 배경으로 분석됩니다.
또 판매방식은 영업점 없이 온라인으로 판매에 나섭니다. 웹 사이트나 앱을 통해 차량 선택부터 시승예약, 견적, 결제, 배송까지 전 과정을 '원스톱'으로 끝낸다는 구상입니다.
[싱크] 장재훈 / 현대자동차 사장
“우리는 일본 내에 있어 판매점, 이른바 '딜러'가 없습니다. 그 대신 시간과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는 스마트한 차량 구매 경험을 온라인으로 완벽하게 제공합니다.”
현대차는 우선 수소차 ‘넥쏘’와 전기차 ‘아이오닉 5’를 일본 시장에 선보일 예정입니다.
또 올 하반기 요코하마를 시작으로 일본 주요 지역에 현대차 친환경차를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 고객 체험 기회를 제공하는 한편, 일본 현지업체와 손잡고 차량 공유 서비스도 선보인다는 계획입니다.
‘수입차의 무덤’으로 불리는 일본에서 현대차가 기대 이상의 성과를 낸다면, 전기차 분야에서도 글로벌 경쟁력을 확인하는 계기가 될 전망입니다. 서울경제TV 장민선입니다. / jjang@sedaily.com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폐수 유출한 영풍 석포제련소, 오염시설 미신고로 '벌금형'
- 당근·번개장터 ‘지브리 이미지’ 거래…못막나 안막나
- ‘신저가 행진’ 삼성SDS…현금성 자산 6兆 풀까
- ‘엎친 데 덮친’ 삼성, D램 주도권 뺏기고 인력 전환 골머리
- 스타벅스, 일회용컵 모으면 별 준다…청주서 첫 실험
- 'LG 어워즈' 명예의 전당 공개…구광모 “고객 최우선”
- “유상증자 반대”…티웨이 소액주주 힘 모은다
- 아이팔콘(iFFALCON), 한국 시장 본격 진출…차별화된 라인업 공개
- 벨톤 보청기, '美 최고 고객 서비스' 3년 연속 수상
- 현대큐밍, 펫가전 라인업 확대…라이프스타일 홈케어 전략 강화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