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다문화교육센터, 한국어교육 강사 역량 강화 연수

[제주=금용훈 기자] 제주국제교육원 제주다문화교육센터에서는 중도입국, 외국인학생 등 다문화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노둣돌 한국어학교 강사 및 한국어 이음교실 강사 37명을 대상으로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 및 학습능력 향상을 위해 '2022 한국어교육 강사 역량강화 연수'를 운영했다.
연수는 학생 맞춤형 한국어교육을 실시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교육내용은 한국어 교육과정 및 교재 들여다보기, 학생 진단 방법 및 이용 사이트 및 교재 안내, 한국어교육의 실제적 방법, 다문화학생 만났을 때 래포 형성 및 정서 지원 방법 등 실제 학교에서 학생들을 지도할 때 유용한 내용으로 구성됐다.
노둣돌 한국어학교는 한국어 의사소통이 어려운 다문화학생의 공교육 진입에 따른 언어장벽 해소를 위하여 유·초·중·고등학교 재학중인 중도입국, 외국인학생 등 다문화학생을 대상으로 신청한 학교에 제주다문화교육센터에서 강사를 파견하여 주 4~10시간 내외로 의사소통 중심 한국어 기초교육에 중점을 두고 운영할 예정이다.
한국어 이음교실은 한국어 의사소통은 가능하나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초·중·고등학교 다문화학생 학습능력 향상을 위해서 예비교사(교육대학, 사범대학 학생)가 학교를 방문하여 주 4시간 내외로 교과학습용 한국어교육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 프로그램은 제주대학교 글로벌교원양성거점대학(GTU)와 연계하여 운영한다.
한국어 교육과정 및 교재 들여다보기, 학생 진단 방법 및 이용 사이트 및 교재 안내, 한국어교육의 실제적 방법, 다문화학생 만났을 때 래포 형성 및 정서 지원 방법을 통해 학교에 가서 학생을 만나서 어떻게 진단하고 어떤 내용을 가르칠 것인지 파악하는 시간을 가짐으로써 전문성 향상에 큰 도움이 되었다.
연수에 참여한 한국어교육 강사는 "다문화학생 맞춤형 교육을 위해 학교에서 학생을 가르칠 때 진단 방법과 다양한 교재의 특징을 파악하고 한국어교육 방법을 익혀서 자신감이 생겼다."라고 하였다.
제주다문화교육센터에서는 입국 초기의 다문화학생의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을 위해서 노둣돌 한국어학교를 운영하고, 의사소통은 가능하지만 학습이 어려운 다문화학생을 위해 한국어 이음교실을 운영할 계획이다. 다문화학생 맞춤형 교육은 3월 학교의 신청을 받은 뒤, 4월부터는 학생의 수준을 파악하여 개별 맞춤형 교육을 통해 학교생활 적응력 향상 및 기초학력 향상에 도움을 줄 계획이다. /jb007@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순창 쌍치면 산불 2시간 만에 진화…최영일 군수, 현장 긴급 출동
- 남원시, 춘향제 3차 추진상황 보고회 개최
- 남원시, 옥상 비가림시설 '이행강제금 완화'로 시민 부담 경감
- 영덕군의회, ‘대형산불 피해복구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제정 건의
- 배민우 민주당 청년위원장, '尹파면 촉구' 단식 5일 만에 병원 이송
- iM뱅크(아이엠뱅크), ‘산불 피해 복구 기부 릴레이’ 실시
- 오성기공, 영천하이테크파크지구 내 건설장비부품 생산시설 건립
- 영덕군의회, 산불피해 복구 성금 기탁 줄이어
- 김광열 영덕군수, 산불 피해 지원 대책 설명회 가져
- 대구경북병무청, ‘20세 검사 후 입영’ 신청 접수. . .조기 사회 진출 기회 확대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험로·수심 800mm도 거뜬”…기아 첫 픽업 ‘타스만’ 타보니
- 2순창 쌍치면 산불 2시간 만에 진화…최영일 군수, 현장 긴급 출동
- 3저작권 논란에도…챗GPT가 불러온 ‘지브리 놀이’
- 4벼랑 끝 홈플러스…기업회생·검찰 수사 속 ‘대책 실종’
- 5“키움서 주식 안한다”…키움증권 연이틀 먹통에 ‘부글부글’
- 6한숨 돌린 줄 알았는데…트럼프 “의약품도 관세 검토 중”
- 7새마을금고, ‘체질 개선’ 분주…부실 털고 턴어라운드 할까
- 8대선 국면 돌입…짙어진 부동산 시장 관망세
- 9탄핵에 반색하는 플랫폼...카카오 숨통 트이나
- 10F4 "시장 필요시 안정조치"…금융지주사 긴급회의 개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