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상식] 인공관절 부분치환술과 전치환술 자신에게 맞는 방법 찾아야

무릎 관절의 평균 수명은 약 60년이라고 한다. 이에 65세 이상 많은 사람들이 노화와 함께 무릎 관절 연골이 닳기 시작하면서 통증을 유발하는 퇴행성 무릎 관절염을 앓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무릎 관절 연골 손상이 계속되면 연골의 마모와 윤활액 감소로 관절 사이의 공간이 좁아져 뼈와 뼈 사이가 맞닿으면서 극심한 통증을 유발한다. 여성의 경우 가사 노동으로 무릎을 구부리거나 쪼그려 앉는 일이 많으며, 심할 경우 걸음을 걸을 수 없을 정도로 일상생활이 어려워진다.
특히 무릎 통증으로 인해 운동량이 줄어들면 자연스레 체중이 증가하게 되고, 이 때문에 무릎 통증이 더 심해지는 악순환을 반복한다.
만약 물리적인 충격으로 인해 발생한 관절 질환의 경우 물리치료, 약물치료 등을 통해 회복할 수 있다. 그런데 노화 및 방치로 인해 손상이 심한 퇴행성 관절염의 경우에는 병변의 진행 정도에 따라 최후의 수단으로 인공관절 치환술 같은 수술적 치료를 선택하게 된다.
인공관절치환술은 손상된 연골 및 골조직을 없애고, 인공관절로 대체해 무릎 통증을 완화하고, 관절의 운동성을 회복하는 수술이다. 비교적 나이가 젊거나 연골 손상이 심하지 않은 경우라면 자기 연골을 최대한 살려 손상된 일부만 제거하고, 인공관절로 대체하는 반치환술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인공관절 반치환술은 전치환술에 비해 수술 시 절개 부위가 작아 출혈량이 적고, 혈관 및 근육 등 주변 조직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통증이 적고, 회복 속도도 빨라 일상 빠르게 돌아갈 수 있다.
하지만 인공관절은 환자 개인의 관절 구조나 퇴행성 관절염 경과, 연령, 직업 및 생활습관 등을 고려해야 치료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드물게 치료 후 통증이나 감염과 같은 부작용이 생길 수 있어 의료진과의 충분한 상담 후 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관절염은 시간이 지날수록 관절의 손상 정도가 심해지고, 자가치유가 어려운 만큼 통증이 있다면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삶의 질을 떨어뜨리지 않을 수 있다. /정의준 기자 firstay@sedaily.com
도움말 : 김형식 원장(서울바른세상병원)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폭음하는 여성, 연부조직 육종 발생률 3.7배 높아"
- 경희대병원 이정희 교수팀, 척추변형 교정의 ‘새 수술법’ 제시
- HK이노엔 "급성 심근경색 환자의 '케이캡' 복용…위장관 출혈 위험 낮춰"
- 이대목동병원, 이뮤니크와 업무협약 체결
- 강서K병원, ‘런서울런 2025’ 의료지원
- 수술 건수 1위 '백내장'…언제 수술해야 할까?
- 강동경희대병원, 부정맥클리닉 개소…약물부터 최첨단 시술까지 가능
- 폐암 재발 위험 '인공지능'으로 1년 앞서 예측한다
- 폐암약 ‘렉라자’, ‘타그리소’와 승부…약값이냐 내성이냐
- 기생충 감염이 옛말? ‘희귀 감염’은 오히려 사례 늘어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김천교육지원청, 2025학년도 현장체험학습 기타보조인력 운영 연수 개최
- 2영천시, 노계 박인로 정부표준영정 제103호 최종 지정
- 3포항시, 추석맞이 농특산물 온라인 할인기획전 30일 간 개최
- 4포항시, 국가철도공단과 철도 유휴부지 활용 협약…포항역 주차난 해소 나선다
- 5이강덕 시장, “포항 철강산업 지키고 지역경제 살리기 위해 모든 노력 다할 것”
- 6하도급률 높이고 지원 강화…포항시, 지역건설업체와 상생 협력 박차
- 7영천시새마을회, 추석맞이 내고향 환경살리기에 구슬땀
- 8경주시, 자율주행차 시승행사 열고 정식 운행 시작
- 9김천시 보건소, 2025년 경상북도 보건소 신속대응반 도상훈련 경진대회 “우수상 수상”
- 10영진전문대 “해외취업 1위 명성, 올해도 이어간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