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Z&CEO]금양, 국내 세 번째로 2170 원통형 배터리 개발 성공
금양, '2170 원통형 배터리' 개발 ‘쾌거’ 이뤄내
금양, 삼성SDI·LG엔솔 이어 국내 세 번째 성공
전동공구·퍼스널 모빌리티 배터리 시장 정조준
금양, 2024년 1억셀 규모 생산라인 구축한다
연 매출 최대 7,000억원 전망…외형 성장 기대

[앵커]
코스피 상장사 금양이 ‘2170 원통형 배터리’ 개발 성공이라는 쾌거를 이뤘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전동공구와 퍼스널 모빌리티 배터리 시장의 ‘게임 체인저’로 자리매김 한다는 포부인데, 연 매출 7,000억원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김혜영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기자]
금양이 ‘2170 원통형 배터리’ 개발에 성공했습니다.
이는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에 이어 국내 세 번째입니다.
개발에 나선 지 2년 6개월 만에 결실을 맺은 겁니다.
[인터뷰]박순혁 /금양 이사
“삼성SDI가 2170원통형 배터리를 가장 먼저 완성했고, 그 다음에 LG에너지솔루션이 뒤를 이어서 완성을 했고, 58초) 저희가 3번째 완성한 거고요. 국가 공인 품질 인증 기관을 통해서 제품 인증을 다 마쳤습니다"
‘2170배터리’는 지름 21mm에 높이 70mm 의 원통형 배터리를 의미합니다.
현재, 테슬라 모델3, 모델 Y등의 전기차용 배터리와 퀵보드·전기 자전거 등 퍼스널 모빌리티용 배터리, 보쉬·밀워키 등 전동공구용 배터리 등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21년 글로벌 원통형 배터리 출하량은 121억 7,000만개로 전년 대비 21%나 성장했습니다.
우선, 금양은 전동공구용 시장을 정조준하고 나섰습니다.
최근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등 기존 선두 업체들의 무게 중심이 4680 배터리 등 전기차용으로 옮겨가고 있어, 우호적인 시장 환경이 펼쳐진 겁니다.
현재 전동공구시장의 원통형 배터리 규모는 2021년 기준 13조원(25억 5,000만셀 규모)에 달합니다.
[인터뷰]박순혁 /금양 이사
“1차적으로는 국내 대형 전동공구회사 2~3곳과 접촉을 진행하고 있는 상태고요. 이를 통해서 200만 셀 정도를 파일럿 라인 매출을 하고, 이 실적을 바탕으로 글로벌 메이커 보쉬, 밀워키 등을 통해서 1억셀 판매를 할 수 있는 판매망 구축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이와함께, 금양은 퀵보드·전기 자전거 등 퍼스널 모빌리티 시장도 공략한다는 방침입니다.
금양은 올해 말까지 1단계로 2백만 셀을 생산한다는 계획입니다.
이후 2024년 1억셀 규모의 생산라인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른 연간 매출 예상액은 6,000억~7,000억원 수준으로 점쳐집니다.
이는 지난해 금양의 매출액(2,100억원) 기준 3배에 달하는 규모로 큰 폭의 외형 성장이 기대됩니다./서울경제TV 김혜영입니다.
[영상편집 이한얼/영상취재 강민우]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보험硏 "500만 치매 시대…한국도 지자체 보험 필요"
- 김병환 금융위원장 조용한 퇴임…"지켜주지 못해 미안하다"
- 나노실리칸 "신사업 추진 이상無…IR 통해 성과 공개 예정"
- BNK금융 고군분투…지역 살리고 건전성 지킨다
- 수협은행, 비은행 첫 인수…금융지주 전환 속도
- 뉴로랩-광주시, AI·협동로봇 기반 '랩오토메이션' 시장 진출 가속화
- 한패스, 코스닥 상장예비심사 신청…IPO 시동 본격화
- 뱅크샐러드, 고객 대상 금융 피해 보상 위한 '해킹 피해 보증서' 제공
- CJ, 올리브영 매출 성장 기대…목표가↑-대신
- "휴머노이드 로봇 성장기…아이텍, 반도체 칩 테스트 SW 설계력 주목"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장수군, 슬레이트 처리 지원 사업 추가 모집…30일까지 신청 접수
- 2전북특별자치도민체전 배구 경기
- 3제62회 전북도민체전 민속 경기
- 4제62회 전북특별자치도민체육대회 고창서 팡파르…3일간 뜨거운 열전
- 5옴니보어와 문화다양성Ⅰ: 창조적 공존의 가치
- 6영진전문대, 해외취업 대학 1위 '우뚝'. . .해외취업한 선배들 모교 찾아 장학금 기탁
- 7풀무원, 혈당 부담 없는 ‘지구식단 찰곤약 떡볶이떡’ 출시
- 8대구보건대, 느린학습자 청년과 함께하는 ‘DHC 슬로우브루’ 부스 운영
- 9대구보건대, 한·중 치과산업 분야 글로벌 인재 양성 SUMMIT 2025 개최
- 10대구보건대, 기술사관 육성사업 ‘3D프린터운용기능사’ 교육 과정 운영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