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현장 또 멈췄다…입주 날짜 미뤄지나
서·경·인 철콘업계, "공사대금 최대 20% 올려달라"
"하반기엔 더 큰 불씨 될 수도"…공사비 갈등↑
파업 영향으로 건물 층수 올리는 작업 중단
화물·철콘업계 연이은 파업…입주 차질 불가피

[서울경제TV=이지영기자]
[앵커]
수도권 지역 철콘연합회가 건설 현장을 멈춰 세웠습니다. 최근에 있었던 화물연대와 레미콘업계 파업에 이어 이번엔 철콘업계가 '공사대금' 인상 여부를 두고 강경한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지영 기자입니다.
[기자]
오늘 수도권 지역 건설현장 15곳에선 또다시 공사가 중단됐습니다.
서울·경기·인천 지역 철콘연합회가 인건비와 자잿값 상승을 이유로 '공사대금'을 최대 20% 올려줄 것을 요구하며, 이에 응하지 않은 건설사에 대해 셧다운을 강행한겁니다.
최초 예고한 60곳 중 45곳과는 협상이 이뤄져 공사 중단 위기는 벗어났습니다.
이번 셧다운 대상에는 GS건설과 SK에코플랜트, 삼성물산 등 대형 건설사도 포함됐습니다.
철콘업계는 다수 대형 건설사들이 공사비 증액을 구두로 약속해 셧다운을 철회했지만, 이후 약속을 지키지 않는다면 하반기엔 더 큰 불씨가 될 수도 있다고 엄포를 놨습니다.
[인터뷰] 김학노 서·경·인 철콘연합회 대표
"대형사들이 공사비를 올려준 건 아니고요. 구체적으로 공사비를 올려주겠다고 해서 대부분의 현장들이 셧다운 대상에서 빠졌습니다. 현실적으로는 잠재적으로 이 트러블 관계는 계속 유지되지 않을까 그런 생각을 갖고 있습니다."
이번 파업으로 멈춰선 공사현장에선 골조공사를 할 수 없게 됐습니다. 골조공사는 건물의 뼈대를 올리는 작업인데, 이 공사가 중단될 경우 층수를 올리는 작업이 불가능합니다. 층수를 올리는 작업이 늦어지면 그다음 공정 작업을 할 수 없다 보니 공사가 지연될 수밖에 없습니다.
건설사에서도 현장마다 협상 금액이 다르다 보니 바로 해결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라며, 공사를 원만히 해결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단 입장입니다.
[인터뷰] 건설사 관계자
"현재 파업에 참여하고 있는 골조 협력사와는 공사 재개를 위해서 지속적으로 합의를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올해 들어서만 화물연대와 레미콘업계, 그리고 철근콘크리트연합회 파업이 연속으로 이어지면서 사실상 아파트 층수를 올리는 메인 공사가 계속 지연되고 있습니다. 건설사들은 주로 여름철에 빚어지는 하청 업체들의 파업을 예상해 입주 날짜를 정하지만, 이번 철콘업계의 파업이 길어진다면 입주 날짜에도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어 보입니다.
서울경제TV 이지영입니다. /easy@sedaily.com
[영상편집: 박현]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LCC 슬롯 전쟁…티웨이항공, 사업 다각화 속도
- 네카오, 3분기 실적 ‘맑음’…장기 성장 ‘미지수’
- 수가는 낮고 보령도 사업 철수...‘복막투석’ 소멸 위기
- 두산건설, ‘10·15 대책’ 후 첫 청약…“비규제 효과 톡톡”
- 신세계免, 인천공항점 ‘적자’…이석구 신임 대표 시험대
- 삼성·테슬라, AI칩 동맹 강화…머스크 “삼성과 AI5 생산”
- 푸디스트, 장애인 근로자 고용으로 사회적 가치 창출
- ‘동국제약과 함께하는 갱년기 극복 동행캠페인’ 성료
- 오리온, 진천통합센터 착공…"글로벌 수출 전진기지"
- '꼼수 인상' 교촌치킨, 결국 중량 200g 늘려 원상복구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경기북부 산업단지, ‘빈 땅의 10년’
- 2인천시, 교육청·동구와 손잡고 화도진도서관 새단장
- 3경관조명으로 물든 오산시, 70억 원의 투자
- 4인천시의회 조현영 의원, 제3연륙교 개통...송도 주민 혜택 촉구
- 5기장군, 제19회 기장붕장어축제 열린다
- 6인천시, 갈등조정에서 공론화로… 시민 참여 숙의 행정 본격화
- 7인천시, 수도권 규제완화 논의… 지역 역차별 해법 찾는다
- 8문경복 인천 옹진군수 “정확한 통계...정책의 기초”
- 9유정복 인천시장, ‘시민이 묻고 시장이 답하다’ 현장 소통
- 10인천시의회 이단비 의원, 시민 혜택과 소상공인 보호 동시에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