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정부 대규모 공급책 내주 발표…"집값 안정화" vs "단기 상승 역효과"

[서울경제TV=설석용기자] 윤석열 정부가 다음 주 대규모 주택 공급 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다.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 1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업무보고에서 ‘250만호+α 공급대책의 구체적인 발표 시점’ 대한 국민의힘 강대식 의원의 질문에 “8월 10일 전후로 계획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정부의 공급 대책은 윤석열 대통령의 250만호 공급 공약에 대한 첫번 째 로드맵으로, 시장에서 어떻게 받아들이냐가 관건이다.
새 정부는 출범 이후 부동산 관련 세금, 대출 등 규제 완화 정책을 먼저 손봤다. 공급 대책은 집값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만큼 시장 기대와 우려에 대한 무게감은 더 크다.
정부는 5년동안 연간 50만가구씩 공급하고, 이 중 절반 이상인 130만~150만 가구를 수도권에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문제는 공급 지역과 방법이다.
정부의 공급 계획은 장기적으로 집값 안정화에 기여하지만, 단기적으로는 개발 이슈로 인한 집값 상승 효과도 가져온다. 지난 정부에선 공급 대책을 발표할 때 특히 수도권에선 풍선효과로 급격히 집값이 상승하는 부작용도 낳기도 했다.
특히 사업부지가 부족한 서울 등 수도권 내 재개발과 재건축 등 정비사업에 대한 정부 방침에 대한 관심이 높다. 현 정부는 민간 참여 확대하는 기조로 정책을 펼치고 있는 가운데 정부사업은 서울의 주요 공급 전략으로 분류되기 때문이다.
시장에선 정부의 대규모 공급 정책 발표 이후 대기수요가 늘어나 집값 안정을 가져올 수 있지만 단기적 관점에서 수요층 몰림현상으로 인한 풍선효과 우려도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윤지해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대규모 공급 계획이 수요자에게 개발 호재나 규제 완화 관점으로 읽히면 수요층이 급매물로 가는 거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어 거래량이 늘어날 여지가 있다"면서도 "수요층 설득이 부족하면 대기수요로 전환되면서 거래절벽으로 작동해 집값 분기점이 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또 "단기간 시장 내에 변모되는 호재로 받아들인다면 수요가 특정 지역에 쏠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며 "단기적으로는 감내하지만 중장기적으로 집값 안정화는 어려울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joaquin@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함께일하는재단, ‘소셜벤처의 기술혁신과 글로벌 진출 전략’ 웨비나
- LS일렉트릭, 1분기 영업익 873억원…전년비 6.9% 감소
- 한국타이어, 중대형 카고 트럭용 타이어 출시
- HS효성첨단소재, 친환경 고성능 탄소섬유 개발 박차
- "크보(KBO)빵 없어 못 판다"…팬심 자극하는 ‘야구 마케팅’
- 포스코그룹, 현대차그룹과 미래 모빌리티 시장 선도 '맞손'
- LG전자, 텀블러 세척기 출시…"스벅 등 B2B 신사업 영역 확장"
- 호반호텔앤리조트, 지구의 날 맞아 ‘아일랜드 오션 러닝’ 행사
- 팝인보더, 중국 감성 커머스 '포이즌' 연동 서비스 시작
- ‘현대 테라타워 구리갈매’, 입주 1년 만 '완판' 목전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