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 동산도서관 소장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국가문화재 지정
계명대 동산도서관 소장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4권부터 7권, 국가문화재(보물)로 지정예고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고려 1352년 공민왕 때 간행된 목판본으로 역사적 가치 높아

[서울경제TV 대구=김정희 기자]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詳校正本慈悲道場懺法)’이 9월 1일 국가 문화재(보물)로 지정 예고됐다.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은 죽은 자의 영혼을 구제하여 극락으로 천도(薦度)하기 위한 불교 의식집으로 고려 시대인 1352년(공민왕 1년)에 간행된 목판본이다.
이 책은 죄를 많이 지어 뱀으로 환생한 아내의 영혼을 구원하고자 양나라 무제가 편찬하게 한 것을 송나라 때 다시 상세히 교정하여 바로잡은 것이다.
이번에 지정 예고된 계명대 본은 4권부터 7권까지가 한 책으로 묶여 있다.
이미 보물 제875호로 지정되어 있는 호림박물관본 등 3건은 전체 10권의 완질이 되지 못하고 4권부터 6권까지가 빠져 있는데, 계명대 본과 합하면 완질본을 갖추게 된다.
한편, 이 책에는 고려를 건국한 태조 왕건의 이름인 ‘건(建)’자를 그대로 쓰지 않은 모습을 보인다. 이는 국왕의 이름을 피한 것으로 ‘피휘(避諱)’라 하는데, 고려 시대에 간행된 책의 특징이다. 이 책에서는 글자의 마지막 획을 판각하지 않았는데(사진 참조), 더 흥미로운 것은 인쇄본에 누군가 붓으로 생략된 획을 다시 그렸다는 점이다.
이는 아마도 조선이 건국되어 고려는 이전 왕조라 존대할 필요성이 없어졌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에는 ‘용비어천가’ 초간본, 왕실(왕과 왕비)의 한글 편지 35편을 모은 ‘신한첩(곤)’ 등 22종 96책의 국가문화재가 있다. 이번에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이 국가 문화재로 지정 예고되면서 동산도서관은 23종 97책의 국가 문화재를 보유하게 될 예정이다.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은 사립 대학교 도서관 가운데 가장 많은 국가 문화재를 보유하여 고문헌의 보고로 알려져 있다. 이는 계명대학교가 1960년대부터 고문헌을 수집, 발굴하여 우리의 기록 유산을 지켜나가고자 노력해 온 결실의 하나이다.
동산도서관 이종한 관장은 “이번에 지정 예고된 문화재 자료는 동산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 모두가 공유할 수 있도록 원문을 공개할 예정이며, 앞으로도 문화재적 가치가 높은 자료를 지속적으로 발굴해 나갈 것이다.”라고 밝혔다. /95518050@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남양주시, 43년 만에 문화원 첫 독립 청사 개원
- ‘용인포은아트홀’ 새단장 마치고 다양한 공연 줄이어
- [기획Ⅱ] 인천의 에너지 전환, 지역발전의 미래를 열다
- 진도군, 고속철도 국가계획 반영 위한 범군민 결의대회
- [포토] 한국도자재단, 빛나는 손끝의 예술… ‘경기도 공예주간’ 개막
- 오산시, '오색찬란 희망찬 빛의 도시' 도약
- 부천 대장신도시, 광역교통대책 '줄줄이' 지연…입주민 교통대란 우려
- 한탄강·광릉숲, 유네스코 협력 논의…국제포럼 포천서 개막
- 포천시의회, 장자산단 안정화 대책 논의…기업 부담 완화 방안 모색
- 일제강제동원 제3자 변제 인감 위조…"책임자 처벌"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무신사, K패션 브랜드 생산자금 지원 4000억 돌파
- 2풀무원, '지구식단 저당 볶음짬뽕' 출시…식물성 제품군 확대
- 3삼성전자, 3분기 영업익 12.1조원…'어닝서프라이즈'
- 4이니텍, '깜깜이 딜'에 매각 지연…주담대 리스크 어쩌나
- 5남양주시, 43년 만에 문화원 첫 독립 청사 개원
- 6‘용인포은아트홀’ 새단장 마치고 다양한 공연 줄이어
- 7인천의 에너지 전환, 지역발전의 미래를 열다
- 8진도군, 고속철도 국가계획 반영 위한 범군민 결의대회
- 9서울대병원, 이종조직판막 인간 재세포화 성공
- 10한국도자재단, 빛나는 손끝의 예술… ‘경기도 공예주간’ 개막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