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상식] 유방재건술, 성형 아닌 유방암 치료의 연장선으로 봐야

유방암은 여성의 육체적, 정신적 건강 악화를 불러 일으키는 암종이다. 암 세포 자체 위험성 뿐 아니라 치료 과정 중 아름다움의 상징인 가슴을 절제해야 한다는 심리적 문제까지 안고 있기 때문이다.
유방암은 악성 세포가 다른 부위로 전이되기 전 수술로 조속히 제거하는 것이 관건으로 암이 퍼져나간 단계에 따라 유방암전절제술 또는 유방암부분절제술을 진행한다. 전절제술은 말 그대로 유방 전체를 절제하는 방법이고 부분절제술은 일부 조직만 제거하는 수술 방법이다.
특히 암 세포를 제거하기 위해 유방전절제술을 시행할 경우 여성 정체성에 큰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실제로 유방암 치료 후 큰 상실감과 좌절감을 갖는 여성 사례가 많다. 유방전절제술을 시행한 가슴 모양은 심리적 위축을 초래하고 나아가 신체적 불균형마저 일으킬 수 있다.
실리콘 보형물 브래지어를 대체하여 선택할 수 있지만 위치 변화, 땀 등의 불편 요소가 존재한다. 이에 많은 여성 유방암 환자들이 유방재건술을 고려하기 마련이다.
유방재건술은 환자의 희망사항을 비롯해 나이, 유방암 병기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시행한다. 상황에 따라 인공삽입물, 자가 조직 등을 선택해야 하는 것은 물론 유방암 진행 정도에 따라 암 절제 방법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다시 말해 절제 방법과 보존 조직 여부, 환자 개개인의 상태 등을 모두 고려하여 최적화된 수술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가장 중요한 것은 유방암 치료 후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환자 본인 노력이 상당히 중요하다는 점이다. 무엇보다 유방재건술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걷어내야 한다.
유방 재건은 단순 미용성형이 아니라 외형 손상 관련 상실감을 줄이는 방법이며, 여성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유방암 치료의 연장선상이라고 생각해야 한다. /정의준 기자 firstay@sedaily.com
도움말: 김상훈 삼성유바디외과 원장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문화해설 로봇 ‘큐아이’, 만화박물관서 ‘K-콘텐츠’ 알린다
- 한국음악저작권협회, ‘AI 사용 안 썼다’ 보증 절차 도입
- 지리산 산불, 국립공원 외곽 200m 남아…"오늘 주불 진화 최선"
- 韓 대행 "산불 이재민 일상 회복 때까지 모든 지원 아끼지 않을 것"
- '경북 산불' 사망자 2명 늘어…화마에 26명 목숨 잃어
- 부산대 의대 "미등록자 내달 5일부터 제적 절차 진행"
- 안동·의성 산불, 부분 재발화…헬기 투입 진화작업
- 한국문화정보원-법무법인 유연, 법률 자문 협약
- "가짜 팬후기"…'뒷광고' 카카오엔터 과징금 3억9000만원
- 의총협 "35개교 휴학계 반려 완료…나머지도 반려 예정"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8주 연속 하락한 휘발유·경유 가격…“다음 주 상승 전환 전망”
- 2키움증권 '먹통'…"또 '사고'有, 더 불안"
- 3벤츠, BMW 누르고 3월 수입차 1위…‘럭셔리’ VS ‘전동화’ 맞대결
- 4내주 216가구 분양…"한적한 분양시장"
- 5美 ‘관세 폭탄’에 희비 엇갈린 K푸드…국내 수출 적신호
- 6신조어 설명도 '척척'…성큼 다가온 AI 검색 시대
- 7“험로·수심 800mm도 거뜬”…기아 첫 픽업 ‘타스만’ 타보니
- 8순창 쌍치면 산불 2시간 만에 진화…최영일 군수, 현장 긴급 출동
- 9저작권 논란에도…챗GPT가 불러온 ‘지브리 놀이’
- 10벼랑 끝 홈플러스…기업회생·검찰 수사 속 ‘대책 실종’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