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모비스, 기술혁신 속도… ‘ㄱ’ 주차 현실로

[앵커]
자동차 산업이 빠르게 변화하면서 차량 전동화 기술이 급부상하고 있습니다. 현대모비스가 선제적 연구개발 투자와 기술 혁신으로 글로벌 전동화 경쟁력을 보여주고 있는데요. 전동화 기술 기반을 바탕으로 북미시장에서 영향력을 확대해 나간다는 전략입니다. 장민선 기자입니다.
[기자]
현대모비스가 개발한 독립형 후륜 조향시스템입니다.
대형 세단이나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에 들어가는 후륜 조향시스템을 한단계 발전시켜, 뒷바퀴가 좌우 각각 다른 방향으로 최대 10도 가까이 움직일 수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현재 상용화된 기술 수준은 좌우 일체형 조향시스템이 10도 가량, 좌우 분리형은 3도 수준인데 현대모비스가 약 2년 간의 연구개발 끝에 3배 이상 늘리는 데 성공한 겁니다.
이 기술은 회전할 때 선회반경을 약 25% 가까이 줄여 도로폭이 좁고 주차공간이 넉넉하지 않은 국내와 유럽시장에서 각광받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인정 받은 현대모비스는 지난 9월 미국 디트로이트에서 북미국제오토쇼(NAIAS)의 일환으로 개최된 제28회 ‘페이스 프로그램’ 시상식에서 아시아 부품사 중 선행기술 분야에서 유일하게 올해의 혁신기술상을 받은 바 있습니다.
[싱크] 현대모비스 관계자
“독립형 후륜 조향시스템은 글로벌 전기차 시장에서 더욱 각광 받을 기술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전기차 플랫폼의 특성상 앞뒤 바퀴사이 거리가 넓고 차체 무게나 설계 측면에서 후륜 시스템이 채택이 용이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대형 전기차 시장이 성장함에 따라 북미 시장에서 인기가 높은 픽업트럭도 주요 수주 공략 대상이 될 전망입니다.”
현대모비스는 이 기술을 확대해 네 바퀴가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차세대 모빌리티 기술 ‘이코너(e-Corner) 모듈’ 개발에도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이코너 모듈을 적용하면 차량이 옆으로 주행하는 크랩(Crab·게) 주행이나 90도 회전 주차, 제자리 360도 회전도 가능해질 전망입니다.
한편, 현대모비스는 2030년까지 13억 달러를 들여 미국 조지아주에 전기차 전용공장과 배터리셀 공장을 신설하고 기존 앨라배마와 조지아 공장을 증설해 글로벌 전동화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낸다는 계획입니다.
서울경제TV 장민선입니다. / jjang@sedaily.com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관련뉴스
- 신한운용, 'SOL 팔란티어 커버드콜 ETF 시리즈' 월 분배금 지급
- 삼성·OpenAI '맞손' …'스타게이트' 협력 나선다
- 김치냉장고 '딤채' 위니아, 3번째 도전 끝에 회생절차 개시
- 중기부, ‘AI 스타트업 간담회’ 주재…오픈이노베이션 강화 논의
- 고려아연 찾은 김두겸 시장 "어려운 상황 잘 대응…울산 시민도 마음 보태"
- 계룡건설-한국전기안전공사, '전기안심 인증' 업무 협약
- ‘무비자’ 中 관광객에 유통가 들썩…연말 기대감 ‘쑥’
- [서울경제 미래컨퍼런스] AI 혁신과 산업 대전환…“연결·협업으로 새 판짜야”
- LG전자 인도법인, 14일 상장…“글로벌 사우스 공략”
- 코웨이, ‘2025 한국산업의 고객만족도’ 3관왕 달성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한투운용, ACE ETF 순자산액 20조원 돌파
- 2신한운용, 'SOL 팔란티어 커버드콜 ETF 시리즈' 월 분배금 지급
- 3NH투자증권, '공휴일 해외주식 배당급 지급 서비스' 시작
- 4여수상공회의소, ‘석유화학업종 고용회복 지원금’ 추석 전 조기 지급에 총력
- 5'민원해결사' 이숙자 남원시의원, 학생 안전 지키는 생활 의정 빛났다
- 6남원시, 제9회 가족사진 공모전 수상작 20점 선정
- 7남원시, 전북장애인체육대회서 42개 메달 쾌거
- 8남원시, 경남 스마트팜 혁신밸리 벤치마킹…첨단 농업의 미래 설계
- 9기장군, 철도 인프라 확충 통한 교통편의 개선에 ‘총력’
- 10삼성·OpenAI '맞손' …'스타게이트' 협력 나선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