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기획] 금융권, "리스크 시대 왔다"… '부실 대응' 총력
[앵커]
올해도 우리 금융시장의 불안을 자극하는 대내외 요인이 많습니다. 특히 역대 최고치에 달하는 가계·기업대출은 큰 위험 요소로 꼽히는데요. 위기가 현실이 되기 전, 금융권이 선제적인 대비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김미현 기자입니다.
[기자]
고물가를 잡기 위해 지난해 주요국 중앙은행들이 가파르게 정책금리를 올리면서, 글로벌 통화긴축 기조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 여파로 신흥국에서는 외국인자금이 빠르게 빠져나가는 등 금융불안 우려가 큰 상황.
우리나라도 안심할 수 만은 없습니다.
[싱크] 김소영 / 금융위 부위원장 (지난 4일 국회 토론회)
“글로벌 통화긴축 지속 여부, 경기 둔화 우려, 신용위험 등 여러 불확실성으로 인해 다시 시장불안이 확대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특히 국내 전체 경제 규모보다 2배 이상 많은 가계·기업부채는 올해 고금리 기조 속 금융시장 불안을 자극하는 주 요인입니다.
[싱크] 손종칠 / 한국외국어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GDP(국내총생산)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OECD 국가들과 비교해보면 굉장히 높은 수준이고, (그래서) 위험요인으로 부각되는 것 같습니다.”
올해 한두 차례 금리가 더 오르고 경기 둔화가 심화될 경우, 가계 실질소득과 기업 수익성은 감소하고,
이에 따라 취약차주와 자영업자, 한계기업을 중심으로 잠재 부실이 터질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올해 내내 복합위기가 전망되는 상황에서 금융업권은 무엇을 대비해야 할까.
[싱크] 김영도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금융시스템의 리스크가 오는 요인을 은행을 통해서 적절히 제어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이 되고요. 그래서 (은행의 경우) 적극적인 어떤 유동성 공급이라든지 그런 측면에서의 지원이 좀 필요할 것 같고요. 저축은행은 실질적으로 부실 차주들의 여신이 높기 때문에 이들이 급격하게 부실에 빠지지 않도록 적극적으로 여신 관리를 할 필요가(있습니다.)”
또 자금조달 비용 부담이 커진 카드사 등 여신업권은 적극적으로 자금 확보 수단을 마련하고, 보험사는 부동산PF나 대체투자의 부실을 선제로 점검할 것을 전문가들은 조언합니다. 서울경제TV 김미현입니다. / kmh23@sedaily.com
[영상편집 채민환]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