꺾이는 해상운임에도…‘주가전망은 맑음’

[앵커]
해상 운임 하락으로 해운업계가 최악의 국면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영업 적자 가능성이 커졌지만, 증권가에선 해운주에 긍정적인 전망을 내놓고 있는데요, 자세한 내용, 최민정 기잡니다.
[기자]
해운업에 불황이 찾아오면서 투자자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오늘(17일) 해운업계에 따르면 지난 13일 기준 글로벌 해운 운임 지표인 상하인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1,031.42를 기록했습니다.
작년 SCFI 지수가 5,000을 넘었던 것과는 대비되는 수칩니다.
같은 날, 발틱운임지수(BDI)도 4개월여만에 1,000대가 붕괴되며 946으로 마감됐습니다.
글로벌 경기 침체에 따른 물동량 감소로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는 ‘수급 불균형’이 발생한 겁니다.
영업 적자 가능성이 커졌지만, 증권가에선 오히려 해운주에 대해 긍정적인 전망을 내놨습니다.
대표적인 컨테이너선 해운주인 HMM의 경우, 3분기 기준 10조원대의 현금을 보유한 만큼, 부진한 실적을 내더라도 주가가 흔들리지 않을 것이란 분석입니다.
원자재를 싣는 벌크선 종목(유연탄·철광석 등을 나르는 선박)은 3월 양회 이후, 중국의 정책 효과로 선박 수요가 증가할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이에 이병근 흥국증권 연구원은 “중국 쪽 리오프닝 기대감이 다시 커지면, 3월 이후 벌크선 종목은 다시 올라올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중국의 물동량, 경제지표를 확인해 봐야 한다”라고 전했습니다.
서울경제TV 최민정입니다./choimj@sedaily.com
[영상편집: 강현규]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금융위, 중대재해기업 대출제한 검토…은행권 '난감'·건설업계 '긴장'
- 업비트·빗썸 코인 대여 제동…당국 TF 꾸려 규제 착수
- "사고 싶어도 못 사요"…플랫폼 한계에 'K쇼핑' 문턱 못넘는 외국인들
- 상상인저축 M&A 무산…저축은행 재편 '안갯속'
- "기대 너무 컸나"…세제안 실망에 증시 급락 전환
- 금융사 교육세율 인상…초과이익 환수 시동
- 김성태 기업은행장 " 中企 금융 양적·질적 선도·내부통제 강화할 것"
- 한화자산운용, 'PLUS 고배당주' ETF 주당 분배금 6.5% 인상
- 토스증권, '서버 개발자' 집중 채용…8월 17일까지 접수
- 상장 앞둔 에스엔시스 “글로벌 조선해양산업 대표기업 될 것”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서로에게 너무 당연한 태도가 불러오는 갈등
- 2안지선(헤일리온코리아 본부장) 부친상
- 3조현, 美상원·백악관 인사와 면담…"전략적 경제 협력 심화"
- 4도요타, 생산량 전망치 상향 조정…1000만대 가능성도
- 5트럼프, 파월에 불만 표출…연준의장직 유지 질문엔 "아마도"
- 6김건희특검, '집사게이트' 의혹 IMS·사모펀드 대표 동시 소환
- 7독일 "패트리엇 2기, 우크라이나 지원"
- 8안규백 국방장관, 폴란드 K2 전차 현지 생산 공장 방문
- 9빅터차 "트럼프, 무역합의 대가로 방위비 분담금 인상 요구할듯"
- 10정부, 민생회복 소비쿠폰 불법 유통 특별 단속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