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금보험공사, 1년5개월 동안 잘못 송금한 60억원 찾아줘

[서울경제TV=민세원기자] 예금보험공사는 ‘착오송금반환지원제도’로 약 1년5개월동안 총 5,043명에게 착오송금액 60억원을 찾아줬다고 25일 밝혔다.
지난 2021년 7월부터 시작된 ‘착오송금반환지원제도’는 잘못 송금한 돈을 최소한의 비용으로 신속하게 반환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다.
예금보험공사가 이날 발간한 자료에 따르면 반환제도 시행 후 지난해 12월 말까지 누적 1만6,759명이 착오송금 반환지원을 신청했고, 그 중 5,043명이 실제로 지원을 받았다. 1건당 평균 착오송금액은 143만원이었다.
금액별로 보면 100만원 미만의 착오송금액이 전체 61.8%, 10만원 이상 50만원 미만이 36.6%를 차지했다.
착오송금 반환지원 신청 건수가 지난해 하반기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경제활동이 왕성한 30~50대가 전체 착오송금인의 65.9%를 차지했다.
송금유형별로는 은행에서 은행 계좌로의 송금이 64.8%, 은행에서 증권 계좌로의 송금이 8.5%, 간편송금을 통한 은행 계좌로의 송금이 7.7%로 조사됐다.
예보는 착오송금액에서 우편료, SMS 발송 비용 등 소요비용을 제한 금액을 착오송금인에게 반환하고 있으며, 지급률(착오송금인이 최종 반환받은 금액‧착오송금액*100)은 평균 95.9%로 나타났다.
또 지난해 12월 31일 이전에 착오송금한 경우는 지원대상이 5만원~1,000만원 이하였지만 올해 1월 1일 이후의 착오송금건은 지원 대상이 5만원~ 5,000만원 이하로 확대됐다.
예보 관계자는 “착오송금 예방을 위해서는 자주 입력하던 계좌라도 계좌번호와 예금주를 꼭 확인하고, 0 하나만 잘못 입력해도 송금액이 크게 달라지는 만큼 송금액 확인도 잊지 말라”고 당부했다.
또 “착오송금한 경우 우선 송금 시 이용한 금융회사를 통해 수취인에게 반환을 요청해야 한다”며 “해당 방법이 거절될 경우에는 예금보험공사에 착오송금 반환지원 신청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yejoo0502@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보험연 "車보험 손해율 급등…실손초과 보험금청구 억제해야"
- 대한상의 "국민 55% 미장 선호...기업 혁신성 때문"
- "회장 임기 채워라" "배당 과도"...이복현이 부른 금감원장 영역 논란
- 월가 몰려간 서학개미 잡아라…증권가, 해외 주식 세미나 잇따라
- 현대해상, 작년 순익 1조307억원 '역대 최대'…전년比 33.4%↑
- 한화손보, 작년 순이익 3823억…전년 대비 31.5%↑
- [부고]최철규(저축은행중앙회 경영지원부장)씨 부친상
- 가상화폐 거래소 바이비트 2조원대 '최대 규모' 해킹…"北 소행"
- 2금융 가계빚 7조원 폭증…풍선효과 '경고음'
- "배당 확대, 자사주 매입·소각"…기업이 주주에게 돌려드립니다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삼성물산, 송파 대림가락아파트 재건축 수주
- 2중기부, 백년소상공인 신규 선정…"글로벌 성장 지원"
- 3LH, 올해 공공주택 10만가구 승인…매입·전세임대 9만가구 공급
- 4보험연 "車보험 손해율 급등…실손초과 보험금청구 억제해야"
- 5국토부 "수도권 디딤돌·버팀목 대출금리 0.2%p 추가 인상"
- 6쿠팡, 우수 PB 중소협력사 시상식 개최
- 7챗GPT 국내 주간이용자 200만 넘겨
- 8기재1차관, 26∼27일 G20회의 참석…경제협력 논의
- 9박균택 의원, 시민과 소통강화 '광산 동네한바퀴' 민생탐방 '눈길'
- 10전남도, 독특한 매력 지닌 이색 회의장소 ‘유니크베뉴’ 공모 나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