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 쇼크에 금융株 휘청…“개별 은행 문제일 뿐”

[앵커]
SVB(실리콘밸리은행) 파산 여파가 잠잠해지나 싶더니, CS발(크레디트스위스) 쇼크까지 겹치며 글로벌 증시 변동성이 다시 커졌습니다. 우리 증권시장도 영향을 받으며 오늘(16일) 2,377선에 하락 마감했는데요, 특히 금융주의 낙폭이 컸습니다. 최민정 기잡니다.
[기자]
미국 SVB 파산에 이어 스위스 2대 은행인 CS에 대한 부실위험 가능성이 커지며 오늘(16일) 코스피는 2,377.91p에 장을 마쳤습니다.
간밤 CS는 연례보고서에서 “2021, 2022 회계연도 재무 보고에 대한 그룹 내부 통제에서 중대한 결함을 발견해 고객 자금 유출을 막지 못했다”고 전했습니다.
이에 CS의 최대 주주인 사우디아라비아국립은행(SNB)도 “추가적인 재정지원을 하지 않겠다”고 밝히면서 CS에 대한 투자자들의 불안감은 더 커졌습니다.
문제가 커지자 결국 스위스 정부가 나섰습니다.
스위스 중앙은행과 스위스 금융감독청은 성명을 통해 “은행에 유동성을 제공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스위스 정부의 소방수 역할에도 글로벌 시스템발 불안이 고조되며 하나금융지주 등 국내 금융주가 일제히 하락했습니다.
전일(15일) 반등했던 금융주가 하루 만에 다시 하락한 겁니다.
이번 사태에 대해 증권가에는 “이번 위기는 '개별 은행'의 문제이며, 국내 금융시장으로까지 전이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선을 그었습니다.
이어 금융주는 “호실적을 기록하고 있고 배당 성향도 확대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에 초점을 맞춰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라고 덧붙였습니다.
[인터뷰] 김인/ BNK투자증권 연구원
"리스크가 확대되고 개념이 아니라 개별 이슈의 문제이기 때문에"
"흔들림은 있을 수 있지만 전체적으로 전이되지는 않을 것이라는 게"
"심리적인 부분들은 좀 부담이 될 수는 있겠지만 실적이나 또는 어떤 리스크로 연결되지는 않을 것이다"
다만, 미국에 이어 유럽 은행의 부실 문제가 발생한 만큼 금융 리스크의 확산 추이를 면밀히 지켜볼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이어집니다.
서울경제TV 최민정입니다. /choimj@sedaily.com
[영상편집: 유연서]
[영상취재: 김수영]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iM뱅크, 충청권 지역상생 보증재원 10억원 특별출연
- 신한銀·한국석유공사, 퇴직연금 담보설정 서비스 업무협약 체결
- 아우딘퓨쳐스, '네오젠' 타임스퀘어 광고·울타뷰티 입점 진행
- 우리銀, K-택소노미 AI 도입으로 녹색금융 지원 강화
- 한켐, '초음속 발사체 추진제 원료 소재' 조기 생산 구축
- 손오공, '라부부' 열풍에 팝마트 로보샵 매출 증가
- 미래에셋, 고객자산 1000조 돌파
- 카카오페이, '민생회복 소비쿠폰' 결제 수단 확대…편의성 대폭 강화
- SK스퀘어, 적극적 주주 환원 긍정적…목표가↑-NH
- [부고] 오익근(대신증권 대표이사 사장)씨 모친상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제이케이이지컴퍼니, 쿤밍 춘성 스프링시티 골프앤리조트와 이벤트
- 2보성군, RISE 사업으로 지역 혁신 날개 달다
- 3중기중앙회, '참 괜찮은 강소기업' 서비스 개편
- 42025 아시아투척선수권대회, 목포서 역대급 기록 쏟아내며 마무리
- 5서울시-SBA, 중고등학생·장애인 e스포츠 대항전 '2025 서울컵' 개최
- 6우미건설, ‘K-디자인 어워드 2025’ 수상
- 7고흥군의회, 올해 공무 국외출장 예산 전액 반납
- 8서울창업센터 동작, 지원사업 공모 시작…기술창업 사업화 지원
- 9에어프레미아, 중대형견 입양센터 '브링미홈'서 유기견 봉사활동
- 10혼다코리아, 스몰 펀 모터사이클 ‘몽키125’ 고객 초청 이벤트 성료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