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 쇼크에 금융株 휘청…“개별 은행 문제일 뿐”

[앵커]
SVB(실리콘밸리은행) 파산 여파가 잠잠해지나 싶더니, CS발(크레디트스위스) 쇼크까지 겹치며 글로벌 증시 변동성이 다시 커졌습니다. 우리 증권시장도 영향을 받으며 오늘(16일) 2,377선에 하락 마감했는데요, 특히 금융주의 낙폭이 컸습니다. 최민정 기잡니다.
[기자]
미국 SVB 파산에 이어 스위스 2대 은행인 CS에 대한 부실위험 가능성이 커지며 오늘(16일) 코스피는 2,377.91p에 장을 마쳤습니다.
간밤 CS는 연례보고서에서 “2021, 2022 회계연도 재무 보고에 대한 그룹 내부 통제에서 중대한 결함을 발견해 고객 자금 유출을 막지 못했다”고 전했습니다.
이에 CS의 최대 주주인 사우디아라비아국립은행(SNB)도 “추가적인 재정지원을 하지 않겠다”고 밝히면서 CS에 대한 투자자들의 불안감은 더 커졌습니다.
문제가 커지자 결국 스위스 정부가 나섰습니다.
스위스 중앙은행과 스위스 금융감독청은 성명을 통해 “은행에 유동성을 제공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스위스 정부의 소방수 역할에도 글로벌 시스템발 불안이 고조되며 하나금융지주 등 국내 금융주가 일제히 하락했습니다.
전일(15일) 반등했던 금융주가 하루 만에 다시 하락한 겁니다.
이번 사태에 대해 증권가에는 “이번 위기는 '개별 은행'의 문제이며, 국내 금융시장으로까지 전이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선을 그었습니다.
이어 금융주는 “호실적을 기록하고 있고 배당 성향도 확대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에 초점을 맞춰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라고 덧붙였습니다.
[인터뷰] 김인/ BNK투자증권 연구원
"리스크가 확대되고 개념이 아니라 개별 이슈의 문제이기 때문에"
"흔들림은 있을 수 있지만 전체적으로 전이되지는 않을 것이라는 게"
"심리적인 부분들은 좀 부담이 될 수는 있겠지만 실적이나 또는 어떤 리스크로 연결되지는 않을 것이다"
다만, 미국에 이어 유럽 은행의 부실 문제가 발생한 만큼 금융 리스크의 확산 추이를 면밀히 지켜볼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이어집니다.
서울경제TV 최민정입니다. /choimj@sedaily.com
[영상편집: 유연서]
[영상취재: 김수영]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보험연 "車보험 손해율 급등…실손초과 보험금청구 억제해야"
- 대한상의 "국민 55% 미장 선호...기업 혁신성 때문"
- "회장 임기 채워라" "배당 과도"...이복현이 부른 금감원장 영역 논란
- 월가 몰려간 서학개미 잡아라…증권가, 해외 주식 세미나 잇따라
- 현대해상, 작년 순익 1조307억원 '역대 최대'…전년比 33.4%↑
- 한화손보, 작년 순이익 3823억…전년 대비 31.5%↑
- [부고]최철규(저축은행중앙회 경영지원부장)씨 부친상
- 가상화폐 거래소 바이비트 2조원대 '최대 규모' 해킹…"北 소행"
- 2금융 가계빚 7조원 폭증…풍선효과 '경고음'
- "배당 확대, 자사주 매입·소각"…기업이 주주에게 돌려드립니다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중기부, 백년소상공인 신규 선정…"글로벌 성장 지원"
- 2LH, 올해 공공주택 10만가구 승인…매입·전세임대 9만가구 공급
- 3보험연 "車보험 손해율 급등…실손초과 보험금청구 억제해야"
- 4국토부 "수도권 디딤돌·버팀목 대출금리 0.2%p 추가 인상"
- 5쿠팡, 우수 PB 중소협력사 시상식 개최
- 6챗GPT 국내 주간이용자 200만 넘겨
- 7기재1차관, 26∼27일 G20회의 참석…경제협력 논의
- 8박균택 의원, 시민과 소통강화 '광산 동네한바퀴' 민생탐방 '눈길'
- 9전남도, 독특한 매력 지닌 이색 회의장소 ‘유니크베뉴’ 공모 나서
- 10광주 명품 특산물 ‘무등산 수박’, 옛 명성 되찾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