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금리 인상 막바지"…코스피 2,400선 사수
코스피, 외인·기관 동반 매수… 2,424선 마감
미 연준, 기준금리 0.25%p 인상…시장 예상 부합
"예금 넓게 보호→포괄적 보장 없다" 말바꾼 美 옐런
美 파월 연준의장 "연내 금리 인하 없다"
美 금리 인상에도 ‘원화 강세’ 현상…환율 29원 급락

[앵커]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시장의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25bp 올렸습니다. 하지만, 연내 금리 인하가 없을 것이라는 제롬 파월 연준(연방준비제도) 의장의 발언에 간밤 미국 증시가 크게 흔들렸는데요. 반면 국내 증시는 빨간불을 켜며 선방했습니다. 김혜영 기자입니다.
[기자]
코스피가 2,400선 사수에 성공했습니다.
외국인(2,129억원)과 기관(2,160억원)의 순매수에 힘입어 상승(0.31%) 전환했습니다.
코스닥은 막판 하락 전환해 0.15% 떨어진 812선에 마감했습니다.
미국 파월 연준 의장과 옐런 재무부 장관 발언에 장 초반 투자 심리가 위축됐지만, 국내 증시는 이를 소화해 냈습니다.
간밤, 미 연준은 0.25%p 기준금리 인상을 결정했습니다.
금리 인상폭은 시장의 예상치에 부합했지만, 관건은 연내 금리 인하는 없다고 선을 그은 파월 의장과,
SVB 등 은행 파산 사태와 관련해 은행들의 모든 예금을 보호하진 않는다고 못을 박은 옐런 장관이 투심을 위축시켰습니다.
그러나, 국내 증시는 미 금리 인상 사이클이 막바지에 다다랐다는 증권가의 전망에 힘을 실었습니다.
현재 미국 금리 상단은 5%, 연준이 제시한 점도표 중간값은 5.1%.
즉, 연준은 앞으로 한 차례 더 금리를 올린 뒤 금리 인상을 끝낼 것임을 예고한 겁니다.
또한, 한미 금리 격차가 1.5%p로 커지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가운데, 원달러 환율은 오히려 29.4원 급락했습니다.
통상 국내 기준금리가 미국보다 낮아지면 기축통화가 아닌 원화 가치는 떨어지고 외국인 투자 자금이 빠져나가지만, 미 연준의 긴축 속도조절 기대감에 1,278원에 장을 마쳤습니다. /서울경제TV 김혜영입니다.
[영상편집 김가람/영상취재 강민우]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관련뉴스
- 금융위, 중대재해기업 대출제한 검토…은행권 '난감'·건설업계 '긴장'
- 업비트·빗썸 코인 대여 제동…당국 TF 꾸려 규제 착수
- "사고 싶어도 못 사요"…플랫폼 한계에 'K쇼핑' 문턱 못넘는 외국인들
- 상상인저축 M&A 무산…저축은행 재편 '안갯속'
- "기대 너무 컸나"…세제안 실망에 증시 급락 전환
- 금융사 교육세율 인상…초과이익 환수 시동
- 김성태 기업은행장 " 中企 금융 양적·질적 선도·내부통제 강화할 것"
- 한화자산운용, 'PLUS 고배당주' ETF 주당 분배금 6.5% 인상
- 토스증권, '서버 개발자' 집중 채용…8월 17일까지 접수
- 상장 앞둔 에스엔시스 “글로벌 조선해양산업 대표기업 될 것”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안지선(헤일리온코리아 본부장) 부친상
- 2조현, 美상원·백악관 인사와 면담…"전략적 경제 협력 심화"
- 3도요타, 생산량 전망치 상향 조정…1000만대 가능성도
- 4트럼프, 파월에 불만 표출…연준의장직 유지 질문엔 "아마도"
- 5김건희특검, '집사게이트' 의혹 IMS·사모펀드 대표 동시 소환
- 6독일 "패트리엇 2기, 우크라이나 지원"
- 7안규백 국방장관, 폴란드 K2 전차 현지 생산 공장 방문
- 8빅터차 "트럼프, 무역합의 대가로 방위비 분담금 인상 요구할듯"
- 9정부, 민생회복 소비쿠폰 불법 유통 특별 단속
- 10"디지털 자산 활성 기대"…비트마인에 몰린 서학개미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