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금리 인상 막바지"…코스피 2,400선 사수
코스피, 외인·기관 동반 매수… 2,424선 마감
미 연준, 기준금리 0.25%p 인상…시장 예상 부합
"예금 넓게 보호→포괄적 보장 없다" 말바꾼 美 옐런
美 파월 연준의장 "연내 금리 인하 없다"
美 금리 인상에도 ‘원화 강세’ 현상…환율 29원 급락

[앵커]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시장의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25bp 올렸습니다. 하지만, 연내 금리 인하가 없을 것이라는 제롬 파월 연준(연방준비제도) 의장의 발언에 간밤 미국 증시가 크게 흔들렸는데요. 반면 국내 증시는 빨간불을 켜며 선방했습니다. 김혜영 기자입니다.
[기자]
코스피가 2,400선 사수에 성공했습니다.
외국인(2,129억원)과 기관(2,160억원)의 순매수에 힘입어 상승(0.31%) 전환했습니다.
코스닥은 막판 하락 전환해 0.15% 떨어진 812선에 마감했습니다.
미국 파월 연준 의장과 옐런 재무부 장관 발언에 장 초반 투자 심리가 위축됐지만, 국내 증시는 이를 소화해 냈습니다.
간밤, 미 연준은 0.25%p 기준금리 인상을 결정했습니다.
금리 인상폭은 시장의 예상치에 부합했지만, 관건은 연내 금리 인하는 없다고 선을 그은 파월 의장과,
SVB 등 은행 파산 사태와 관련해 은행들의 모든 예금을 보호하진 않는다고 못을 박은 옐런 장관이 투심을 위축시켰습니다.
그러나, 국내 증시는 미 금리 인상 사이클이 막바지에 다다랐다는 증권가의 전망에 힘을 실었습니다.
현재 미국 금리 상단은 5%, 연준이 제시한 점도표 중간값은 5.1%.
즉, 연준은 앞으로 한 차례 더 금리를 올린 뒤 금리 인상을 끝낼 것임을 예고한 겁니다.
또한, 한미 금리 격차가 1.5%p로 커지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가운데, 원달러 환율은 오히려 29.4원 급락했습니다.
통상 국내 기준금리가 미국보다 낮아지면 기축통화가 아닌 원화 가치는 떨어지고 외국인 투자 자금이 빠져나가지만, 미 연준의 긴축 속도조절 기대감에 1,278원에 장을 마쳤습니다. /서울경제TV 김혜영입니다.
[영상편집 김가람/영상취재 강민우]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관련뉴스
- K-팔란티어 꿈꾸는 AI 유망주…주가 '불기둥'
- [단독] 비씨카드, 사명에 KT 붙인다…B2B 위기감 반영?
- 환율 변동성에도 '밸류업' 지속…금융지주 자사주 줄매입
- "옷깃만 스쳐도 관련주?"…대선판 달아오르자 정치테마주 '들썩'
- 코스피 2480선서 보합권 출발…코스닥도 소폭 하락
- 비에이치아이, 지난해 사상 최대 수주 실적…지속성 높여나갈 것-iM
- "최악은 지났다" 관세리스크 공포 극복 중인 코스피
- 카드론으로 돈 버는 카드사들…수수료 인하 명암
- 좌초된 금융정책들 골든타임 놓치나…부동산PF·지분형모기지 어디로?
- 한주간 MMF 설정액 7.6조 늘었다…최근 한달 증가치보다 많아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전북자치도교육청, 고교생 대상 ‘학점 인정 학교 밖 주말 강좌’ 운영
- 2전북자치도교육청, 2025년 반부패 청렴정책 추진…“청렴문화 정착 총력”
- 3전북개발공사, ‘스마트 퇴근 알림톡’ 시행…복무 관리 효율화
- 4완주군, ESG 경제대상 사회분야 전국 1위
- 5완주군, 중소기업 위해 301억 원 융자지원
- 6무주군, 행안부 청년마을 조성사업 선정…‘산타지 마을’로 6억 확보
- 7전춘성 진안군수, 통합복지카드 직접 점검…“현장 불편 즉시 개선”
- 8"진안 모델 전국으로"…송미령 농식품부 장관, 계절근로 현장 점검
- 9전북자치도, ‘기후변화주간’ 운영…22일 도청 등 14개 청사 소등
- 10김관영 전북도지사, 국회서 추경예산 총력전…AI·축사매입 등 300억 요청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