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 오홍식 교수팀 '집쥐 무인도 인위적 유입' 입증
제주 무인도 외래생물 유입에 대한 유전적 증거 확보

[제주=금용훈 기자] 제주대학교 오홍식 교수(사범대학 생물교육전공) 연구팀은 제주 지역에 소재한 무인도에 외래생물 집쥐가 인위적으로 유입되었음을 입증할 수 있는 유전적 증거를 확보했다.
연구팀은 제주시 추자면 사수도에서 현장조사를 통해 샘플을 수집하고, mtDNA(미토콘드리아 DNA) cytochrome b 유전자 서열 분석을 통해 종을 동정함으로써 사수도에 집쥐가 인위적으로 유입되었음을 규명할 수 있는 단서를 확보했다.
천연기념물 제333호로 지정된 사수도는 바닷새류(흑비둘기·슴새)의 최대 번식지이다. 집쥐는 사수도에 유입된 후, 개체군이 번성하여 둥지를 파헤치거나 알을 포식하는 등 바닷새류의 번식을 심각하게 교란하는 종으로 알려져 왔다.
오 교수는 "섬은 고립된 생태계로 외래종의 침입은 토착종의 생존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되며, 심각할 경우 고유종이 멸종되기 때문에 침입종에 대해서는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제주도 세계자연유산본부의 '제주 사수도 바닷새류 번식지 위해종 제거사업'으로 진행된 이번 연구 결과는 외래생물에 관한 국제저명학술지(SCIE)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진도 신비의 바닷길 축제 마무리…8만여 명 방문
- 전북자치도의회, 치유 음식관광 활성화 연구회 본격 활동 시작
- 정동영 의원 "대광법 개정안 본회의 통과 환영…전북 교통 인프라 획기적 전기 마련"
- 강진군, '빈집재생지원 사업지구' 선정
- 서거석 전북도교육감, 학원장들과 불법과외 근절 대책 논의
- [기획] 남원시, 지방소멸 극복 선도…청년·출산·정주 정책 '성과 눈에 띄네'
- 전북자치도교육청, 직업계고 취업로드맵 개발·보급
- “주민 지지 없인 통합 불가”… 유희태 완주군수, 지방시대위 결정에 강경 입장
- 장흥군, 상반기 사료구매 자금 96억 원 지원
- 완주군의회 "주민공감대 형성 없는 통합 의미 없어"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진도 신비의 바닷길 축제 마무리…8만여 명 방문
- 2전북자치도의회, 치유 음식관광 활성화 연구회 본격 활동 시작
- 3정동영 의원 "대광법 개정안 본회의 통과 환영…전북 교통 인프라 획기적 전기 마련"
- 4강진군, '빈집재생지원 사업지구' 선정
- 5대한항공-美 안두릴, 유·무인 복합능력 향상 위해 ‘맞손’
- 6서거석 전북도교육감, 학원장들과 불법과외 근절 대책 논의
- 7남원시, 지방소멸 극복 선도…청년·출산·정주 정책 '성과 눈에 띄네'
- 8전북자치도교육청, 직업계고 취업로드맵 개발·보급
- 9중국시계 12만개 국내산 둔갑…제이에스티나 대표 기소
- 10“주민 지지 없인 통합 불가”… 유희태 완주군수, 지방시대위 결정에 강경 입장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