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면 진료 불법되나”…플랫폼 업계 ‘초조’

[앵커]
자가격리로 집 밖을 나가지 못하는 코로나 확진자들에게 비대면 진료 플랫폼은 유용하게 쓰였는데요. 이런 비대면 진료가 사라질 위기에 처했습니다. 감염병 위기 단계가 다음 달부터 하향 조치 되면서 비대면 진료를 허용할 수 있었던 법적 근거가 사라지기 때문인데요. 서지은 기자입니다.
[기자]
비대면 진료가 제도권 안으로 들어올 가능성이 희미해지면서, 업계에서는 불만이 터져 나오고 있습니다.
앞서 정부는 코로나 팬데믹 당시 비대면 진료를 한시적으로 허용한 바 있습니다. 하지만 다음달 부터 감염병 위기 단계가 심각에서 경계로 내려가면서 비대면 진료를 허용했던 법적 근거가 사라지게 됩니다.
이에 국회 보건복지위원회는 어제(25일) 회의를 개최하고 비대면 진료 허용을 골자로 한 의료법 개정안 5건을 심사할 예정이었지만, 안건 순서가 뒤로 미뤄지면서 논의조차 이뤄지지 못하고 끝나게 됐습니다.
비대면 진료 플랫폼 업계는 논의조차 이뤄지지 않은 것에 대해 ‘참담’하다는 입장입니다.
[인터뷰] 장지호 / 원격의료산업협의회 공동회장
“지난 3년 동안 1300만 명 넘는 국민이 비대면 진료를 경험했고, 지금처럼 비대면 진료를 이용하게 해달라는 국민의 목소리가 담긴 서명운동이 11만 명을 돌파했습니다. 근데 국회 법안 소위에서 논의조차 되지 않은 상황에 아쉬움과 참담함을 느끼고요…”
의료법 개정이 물 건너 가더라도, 정부에서는 비대면 진료를 시범사업 형태로 유지하는 방안을 고려중입니다.
하지만 이 역시 아직 업계와 소통된 바 없는 것으로 파악됩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시범 사업 관련해선 아무런 내용을 전달받은 게 없다”며 “시범사업 가이드라인이 비대면 진료 플랫폼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확보하면서 안정성을 고려하는 방향으로 설계되기를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비대면 진료를 시범사업으로 진행하게 될 가능성이 커진 가운데 정부가 어떤 가이드라인을 내놓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서울경제TV 서지은입니다. /writer@sedaily.com
[영상편집 유연서]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건설사, 1분기 분양 계획 34% 그쳐…"대선 전까지 개점 휴업"
- 스텔란티스코리아, 지프 픽업 '뉴 글래디에이터' 국내 출시
- 구일개발 "광주 선운진아리채 지역주택조합 입주 시작"
- 중기중앙회, 제4차 中企공공조달 정책연구회 개최
- 중진공, 융복합 데이터 활용 창업 경진대회 개최
- '리더십 공백' 해소 노태문…"'원 삼성'으로 민접한 조직 문화 실현"
- 경기도사회적경제원, ‘사회적경제 도약패키지’ 참가 기업 모집
- 한화, 자립준비청년 사회 정착 돕는다…'한화와 함께하는 희망 보금자리 1호' 개관
- 귀뚜라미홀딩스, 지난해 역대 최대 매출액... 5년 연속 갱신
- 캠톡, 구글플레이 매출 순위서 인스타그램 추월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