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긴축 장기화 ‘후폭풍’…들썩이는 대출금리

[서울경제TV=김수빈기자]
[앵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의 매파적인 신호에 우리 금융시장도 긴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은행채 금리 상승과 은행권 수신 유치 경쟁까지 감안하면 대출금리는 7%를 훌쩍 넘을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오는데요. 김수빈 기자의 보돕니다.
[기자]
"적절하다면 금리를 더 인상할 준비가 돼 있다."
지난 20일(현지시간)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올해 남은 기간 안에 추가 금리 인상을 시사했습니다. 이번 FOMC에서는 금리가 동결됐지만, 긴축 장기화를 공표한 셈입니다.
이같은 긴축 시그널은 대출금리에 대한 상승 압박을 가중시킵니다. 그렇지 않아도 이미 국내 은행권 대출금리는 오름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오늘(22일) 기준 5대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변동형 금리는 연 4.17~7.099%로 집계됐습니다. 고정형(혼합형) 금리는 3.90~6.469%입니다.
은행들이 은행채 발행을 늘리면서 은행채 금리가 올라가자 덩달아 대출금리도 들썩이는 분위깁니다. 은행채의 경우, 주담대 고정금리의 준거금리로 쓰입니다.
금융투자협회 채권정보센터가 집계한 어제(21일) 기준 금융채(은행채) 5년물 금리는 전날 4.517%로, 3월 초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가열되고 있는 은행들의 수신 경쟁도 대출금리를 높이는 데 한몫 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유치했던 100조 규모의 고금리 예금들의 만기가 도래하기 때문입니다.
일부 신협 지점에서는 연 6% 금리 일반 적금 상품도 나왔고, 새마을금고에서는 8% 특판 적금을 판매한 바 있습니다. 시중은행들도 연 4% 중반대 적금 상품으로 예금 유치 중입니다.
[싱크]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
"고금리 상황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이렇게 볼 수 있고 만약에 이제 미국 금리가 올라서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높인다면 (대출금리가) 8%대까지도 넘어갈 수 있을 가능성도 있다…"
이미 차주들은 '50년 만기 주담대'가 종적을 감춘다는 소식에 경쟁적으로 막차에 탑승하기도 했습니다. 대출금리 상승 압박이 전후방에 존재하는 연이은 악재 속에 차주들의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전망입니다. 서울경제TV 김수빈입니다. /kimsoup@sedaily.com
[영상편집 김가람]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NH농협은행, 영국 런던지점 개점식 개최…"글로벌 IB 도약 요충지"
- 부실 코스닥社, 주주배정 증자 잇따라…'개미 무덤' 될라
- 은행권, 아시아 넘어 유럽으로…글로벌 사업 확대 박차
- '가교보험사' 예별손보 출범…계약이전·매각 동시 추진
- 새내기 조선株 두 곳, 상장 한달 안팎 나란히 '공모가 상회'
- 10대 증권사 '해외주식 수수료 수익' 1조원 육박…전년비 60%↑
- 증권사, 상반기 해외주식 수수료 1조 육박
- 은행 부실채권 규모 고공행진 지속…NPL 시장 활황
- 카카오페이, 보험 적자·오버행 리스크 ‘이중고’
- IBK기업은행, 소상공인 위기극복 지원…7.5조원 규모 특별지원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포항시, 동방경제포럼서 영일만항 북극항로 대응 전략 모색
- 2포항시, 경북 무형유산대전서 우수 전통문화 가치 전해
- 3포항시,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금융지원 본격화
- 42025 영천문화제,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시민 화합 무대
- 5경주지역자활센터, 보건복지부 평가 ‘우수기관’선정
- 6경주시, ‘월드음식점 150곳’ 선정…APEC 손님맞이 준비 박차
- 7경주시민 10명 중 8명 “시정 만족”…민선 8기 3주년 성과 확인
- 8김천시새마을회, 2025 새마을 환경 페스타 성황리 개최
- 9LH, 땅 안 팔고 직접 짓는다…공공이 공급 중심으로
- 102030년까지 수도권 135만호 착공…“LH 직접 개발로 속도 낸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