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불확실성 최고조…韓 엇박자 금리 나오나

[서울경제TV=김수빈기자]
[앵커]
미국발 고금리 장기화 우려 커지면서, 대외적 불안요인이 우리 금융시장의 변동성을 키우고 있습니다. 여기에 여전히 불안한 국제유가와 잡히지 않는 물가 등이 시장금리를 자극하면서 가파른 금리 인상을 걱정해야 할 상황이라고 합니다. 김수빈 기자의 보돕니다.
[기자]
미국의 고금리 장기화 가능성에 글로벌 금융시장이 요동치고 있습니다.
추석 연휴 기간 동안 미국 10년 만기 국채금리는 4.8%를 돌파하며 16년 만의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민간고용 수치가 나온 하루 만에 급등세는 진정됐지만 고점 여부는 아직 판단하기 힘들다는 관측입니다.
불안한 국제유가 역시 글로벌 금융 시장을 더 흔들고 있습니다.
전날 뉴욕상업거래소에서 11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 선물 가격은 5.6% 떨어진 배럴당 84.22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지난 5월 배럴당 60~70달러선이던 것과 비교하면 여전히 높습니다.
이러한 고유가 여파가 물가를 더 자극하면서 통계청이 집계한 9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5개월 만의 최대 상승폭인 3.7%까지 올랐습니다. 정부의 물가 안정 목표치(2%)와 다시 멀어진 모습입니다.
문제는 불안해진 금융환경이 시장금리를 더 자극해 기준금리와 상관없이 널뛰고 있단 점입니다. 지난달 26일 국고채 10년물 금리는 4.08%까지 치솟으면서 레고랜드 사태 발생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국채 금리가 오르면 회사채 금리도 따라올라 기업 자금조달 부담은 더 커집니다. 특히 시장금리 인상은 사실상 기업과 가계 대출금리 인상으로 이어질 수 있는데, 최근 금융당국이 은행채 발행한도를 폐지하면서 금리 인상을 더 부추기고 있습니다.
[싱크]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
"고물가, 고환율, 그리고 고유가 '3고(高)'가 이어질 거 같고요. 내년까지도 미국 금리가 지금 내린다는 얘기들이 별로 없거든요. 가계부채 때문에 사실 (금리를) 못 올리고 있었던 거거든요. 국내 금리 같은 경우에는 성장률 차이를 감안하더라도 최소 4%는 가 있어야…"
시장금리 상황이나 계속 쌓이고 있는 가계부채는 쉽사리 기준금리를 높이지 못하는 제약 요인입니다. 하지만 인플레이션과 미국과의 금리차를 고려하면 인상 필요성이 또 커져 한국은행은 고심이 깊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지난 2월부터 다섯 차레 연속 동결에 나선 한은이 다음달 열리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어떠한 해법을 놓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서울경제TV 김수빈입니다. /kimsoup@sedaily.com
[영상편집 김가람]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북중, 여객열차 운행 재개 조율…코로나 중단 후 5년만
- 2尹 재구속 후 첫 조사 불발…14일 출석도 불투명
- 3에어인디아 추락 초기 조사 결과…"원인은 연료 스위치 차단"
- 4미-EU 무역합의 임박…농산물·자동차 관세 막판 쟁점
- 5비트코인, 11만8000달러 넘긴 뒤 숨고르기
- 6오픈AI, 윈드서프 인수 무산…구글, 핵심 인재 확보
- 7트럼프, 구리에 50% 관세 예고…산업계 긴장
- 8오성환 당진시장, 시민중심 발로뛰는 시정과 정책 추진
- 9정부, 우크라이나 복구 회의 참석…재건 참여 의지 표명
- 10종이로 엮어 만든 예술, 지승 공예의 세계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