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솟는 분양가…가성비 좋은 소형 아파트에 수요자 관심 몰려

[서울경제TV=정훈규기자] 최근 전용면적 60㎡이하 소형 아파트의 인기가 두드러지고 있다. 치솟는 분양가에, 가성비가 좋은 소형 아파트로 수요자의 눈길이 쏠리고 있는 것이다.
11일 부동산R114 자료에 따르면 올해(9월 22일 기준) 수도권 면적별 청약경쟁률은 60㎡이하 소형 아파트가 17.80대 1로 가장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다. 85㎡초과 대형 아파트가 15.15대 1로 뒤를 이었으며, 60~85㎡이하 중소형 아파트가 9.19대 1을 기록했다.
합리적인 가격을 갖춰 매매 진입장벽이 낮은 점도 수도권 소형 아파트의 인기 요소가 됐다. 부동산R114 자료에 의하면, 올해 8월 수도권 내 면적 60㎡이하 소형 아파트의 3.3㎡당 평균 매매 가격은 2,490만원으로 조사됐다. 이는 동월 85㎡초과(2,821만원), 60~85㎡ 이하(2,558만원) 등의 타 면적 대비 낮은 금액이다.
1~2인 가구의 증가도 소형 아파트 수요를 키우는 요인으로 꼽힌다. 행정안전부 자료에 따르면, 수도권 1~2인 가구는 올해 1월 734만462가구에서 6월 743만859가구로 5개월 새 9만397가구 증가했다.
여기에 공급량이 적은 것도 인기를 끄는 데 한몫한다. 올해(1~8월) 수도권에서 분양된 아파트는 5만6,576가구다. 이 중 60㎡이하 소형 아파트는 6,746가구로 전체 중 24.5%에 불과하다. 반면, 60~85㎡이하 중소형 아파트는 1만7,696가구로 전체 물량 중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한 업계 전문가는 “전용면적 84㎡는 4인 가구 기준에 적합해 국민평형으로 불렸지만, 1~2인 가구가 매년 증가하면서 전용면적 59㎡이하 소형 면적이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며 “최근 공급되는 소형 면적은 매매 진입장벽이 낮아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라고 전했다.
이런 가운데, 최근 수도권 내 소형 아파트가 공급을 앞두고 있어 시장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현대건설은 이달 경기도 의정부시 금오동 일원에서 ‘힐스테이트 금오 더퍼스트’를 분양할 예정이다. 단지는 지하 3층~지상 32층, 11개 동, 전용면적 36~84㎡ 총 832세대 규모로 조성되며, 그중 408세대를 일반 분양한다. 일반분양 물량은 전용면적별로 살펴보면 △36㎡ 68세대 △59㎡A 126세대 △59㎡B 17세대 △59㎡C 117세대 △75㎡ 24세대 △84㎡ 56세대 등 수요자들의 선호도가 높은 소형 타입 위주로 구성됐다.
두산건설과 쌍용건설 컨소시엄은 이달 인천광역시 계양구 작전동 일원에 ‘두산위브더제니스 센트럴 계양’을 분양할 예정이다. 이 단지는 지하 3층~지상 최고 39층, 9개동, 1,370가구로 구성되며, 이중 전용면적 49~74㎡ 620가구를 일반 분양한다.
인천도시공사와 DL이앤씨 컨소시엄은 인천광역시 서구 검단신도시 일원에 ‘e편한세상 검단 웰카운티’를 분양 중이다. 이 단지는 전용면적 85㎡ 이하(59㎡, 84㎡) 국민주택과 전용면적 85㎡ 초과(104㎡) 민영주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하 2층~지상 25층, 14개 동(테라스 3개 동 포함), 총 1,458가구의 대단지로 조성된다. 이중 전용면적 60㎡ 이하 소형 면적은 총 583가구가 공급된다.
현대건설은 서울시 관악구 봉천동 일원에 ’힐스테이트 관악센트씨엘‘을 분양 중이다. 이 단지는 지하 3층~지상 28층, 9개 동, 총 997세대 규모로 이중 전용면적 58~59㎡ 101세대가 일반 분양으로 공급된다. /cargo29@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오세훈 서울시장 “10·15 대책 대폭 수정해야”
- 국토부, 올해 동계 항공편 운항 일정 확정…국제선 회복세 뚜렷
- 자립준비청년 정신건강 진료 5년간 30% 증가…구조적 관리 필요
- 日, 트럼프 방일 시 美와 조선업 협력각서 체결 조율
- 최선희 北 외무상, 러시아·벨라루스 방문…북미 정상 만남 불발되나
- 국내 유통 CEO들 한자리에…APEC서 글로벌 네트워크 강화
- 李대통령, 아세안 참석차 말레이 향발…정상외교 슈퍼위크 시작
- 현대건설, '국내기업 최초' 美 대형원전 프로젝트 수행계약 체결
- 동해 심해 가스전 사업, 정부 제동 가능성…BP 우선 협상 논란 확산
- 기후변화에 자취 감춘 중·대형 고등어…수입산 비중 확대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김천시, ‘제2회 김천김밥쿡킹대회’ 우승 김밥 축제 현장 출시
- 2영천시, ‘전국 이마트 소비자와 함께하는 영천포도 축제’ 개최
- 3'2025 해오름동맹 시립예술단 합동공연’ 내달 경주‧울산서 개최
- 4포항시, 산업 전환기 속 ‘맞춤형 일자리 정책’으로 고용 안정 견인
- 5세계로 향한 시간의 문을 열다…APEC 정상회의로 여는 ‘두 번째 전성기’
- 6김천시, 황산 어린이 그림 공모전 시상식 및 전시회 개최
- 7한국수력원자력, 건설원전 기자재 공급사와 상생협력 강화
- 8박희승 의원 "의료기기 이상사례 급증…피해구제제도 도입해야"
- 9"아직 열두 척의 배가 남아있다"…보성군, 이순신 장군 정신을 붓으로 잇다
- 10김철우 보성군수 "보성 열선루, 역사 문화 중심지로 만들 것"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