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한은총재 글로벌금융시스템위 의장으로 선임

[서울경제TV=최재영 기자]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국제결제은행(BIS) 최고위급 협의체인 글로벌금융시스템위원회(CGFS) 의장으로 선임됐다.
15일 한은에 따르면 지난 13일 스위스 바젤에서 열린 BIS 총재회의에서 필립 로우( Philip Lowe) 호주중앙은행 총재 후임으로 이 총재를 의장으로 선임했다. 이 총재의 임기는 2026년 10월 말까지 3년으로 당장 이번달 부터 임기가 시작된다.
CGFS는 BIS총재회의의 최고위급 협의체다. 금융시스템 이슈에 대한 모니터링과 분석, 정책방안 권고 등을 통해 중앙은행의 물가안정과 금융안정 책무를 이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공조채널 역할을 한다.
올해 9월 현재 미 연준과 유럽중앙은행(ECB), 일본은행 등 주요 28개 중앙은행이 회원기관으로 가입됐다. 한은은 2001년부터 옵저버 자격으로 참석했고 2009년 11월부터 정식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CGFS는 연 4차례 정례회의와 필요시 긴급회의 개최한다. 최근에는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와 크레딧스위스(CS)등 사태 등 은행부문 위기 발생 당시 긴급회의를 소집하기도 했다.

[그림=한국은행]
이 총재의 이번 의장 선임은 의미가 크다는 평가가 나온다. CGFS의 글로벌 금융안정에 미치는 영향력도 상당하지만 의장자리가 주로 G7 국가를 중심으로 의장직을 맡아와서다. 한은에서는 이번 의장직은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위상이 반영될 결과라는 의미 부여를 했다.
역대 의장으로는 토시히코 후쿠이((Toshihiko Fukui) 일본은행 부총재(1997~1998년), 유카타 야마구치(Yutaka Yamaguch) 일본은행 부총재(1998~2002년), 로저 퍼커슨(Roger W Ferguso)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 부의장(2003~2006년), 도날드 콘(Donald L Kohn) 미 연준 부의장(2006~2010년) 등이다.
이어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한 이후부터는 중앙은행 총재를 의장으로 선임했다.
마크 카니(Mark Carne) 캐나다중앙은행 총재(2010~2011년), 월리엄 더들리(William C Dudl), 뉴욕연방은행 총재(2012~2018년), 필립 로우(Philip Lowe) 호주중앙은행 총재(2018~2023년)가 의장직을 수행했다.
한은은 "한국이 의장 역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한국은행 직원들의 조사연구 역량을 제고하고 글로벌 네트워크에서 한국은행의 영향력을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cjy3@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관련뉴스
- K-팔란티어 꿈꾸는 AI 유망주…주가 '불기둥'
- [단독] 비씨카드, 사명에 KT 붙인다…B2B 위기감 반영?
- 환율 변동성에도 '밸류업' 지속…금융지주 자사주 줄매입
- "옷깃만 스쳐도 관련주?"…대선판 달아오르자 정치테마주 '들썩'
- 코스피 2480선서 보합권 출발…코스닥도 소폭 하락
- 비에이치아이, 지난해 사상 최대 수주 실적…지속성 높여나갈 것-iM
- "최악은 지났다" 관세리스크 공포 극복 중인 코스피
- 카드론으로 돈 버는 카드사들…수수료 인하 명암
- 좌초된 금융정책들 골든타임 놓치나…부동산PF·지분형모기지 어디로?
- 한주간 MMF 설정액 7.6조 늘었다…최근 한달 증가치보다 많아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전북자치도교육청, 고교생 대상 ‘학점 인정 학교 밖 주말 강좌’ 운영
- 2전북자치도교육청, 2025년 반부패 청렴정책 추진…“청렴문화 정착 총력”
- 3전북개발공사, ‘스마트 퇴근 알림톡’ 시행…복무 관리 효율화
- 4완주군, ESG 경제대상 사회분야 전국 1위
- 5완주군, 중소기업 위해 301억 원 융자지원
- 6무주군, 행안부 청년마을 조성사업 선정…‘산타지 마을’로 6억 확보
- 7전춘성 진안군수, 통합복지카드 직접 점검…“현장 불편 즉시 개선”
- 8"진안 모델 전국으로"…송미령 농식품부 장관, 계절근로 현장 점검
- 9전북자치도, ‘기후변화주간’ 운영…22일 도청 등 14개 청사 소등
- 10김관영 전북도지사, 국회서 추경예산 총력전…AI·축사매입 등 300억 요청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