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분조위, 홍콩ELS 배상 비율 30~65% 결정

[앵커]
홍콩H지수 ELS 분쟁조정위원회가 판매사별 대표 사례를 선정해 자율배상 비율을 심사한 결과가 발표됐습니다. 투자자 손실 관련 배상 비율은 30~65%로 결정됐습니다. 이연아 기자입니다.
[기자]
금융감독원이 어제(13일) 분쟁조정위원회를 개최하고 홍콩H지수 ELS 불완전판매 관련 분쟁 대표 사례에 대한 배상비율 논의를 진행했습니다.
분조위는 홍콩ELS 판매사 KB국민, 신한, 하나, NH농협, SC제일은행 등 5개 은행의 분쟁 대표사례를 각 1건씩 회부해 논의한 결과 30~65%로 배상 비율을 결정했다고 밝혔습니다.
은행별 배상비율을 살펴보면 NH농협은행이 65%로 가장 높고, 국민은행 60%, 신한은행과 SC제일은행이 각각 55%, 하나은행 30%로 뒤를 이었습니다.
배상비율이 가장 높은 농협은행의 경우 주가연계신탁 ELT 2건에 가입한 70대 고령자의 투자성향을 부실하게 파악해 공격투자자로 분류하고 손실 위험 등을 왜곡해 설명한 점 등이 확인됐습니다.
분조위의 결정을 투자자와 금융사 양측 모두 수락하면 재판상 화해와 같은 효력을 갖게 됩니다.
현장에서는 분조위 결정을 근거로 지난 3월 당국이 발표한 분쟁조정기준안과 더불어 기본배상비율을 명확히 제시할 수 있게 됐다는 분위기입니다.
은행권 관계자는 기준안을 근거로 자율배상 비율 협의를 진행 중이기 때문에 대세에 큰 영향을 없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다만, 100% 배상을 주장하고 있는 일부 투자자의 경우 분조위 결정을 수용할 수 없다며 집단 소송을 준비 중이라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서울경제TV 이연아입니다. / yalee@sedaily.com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아이톡시, 자본잠식 탈피 '절실'…돈 넣겠다는 법인 정체는
- 키움증권 "절세계좌로 ETF 모으면 현금 페이백"
- 삼성생명, 이승호 금융경쟁력제고TF장 사장 승진
- 신한證, 전 임직원 대상 AI 교육 역량 강화
- NH선물, ‘EUREX API 수수료 할인 이벤트’ 진행
- "한계기업 안 팔리네"…부실 코스닥社 M&A '냉각'
- 하나은행·네이버페이·SK브로드밴드,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 위해 협력
- 업비트·빗썸, 3분기 '어닝 서프라이즈'…4분기 전망은 '안갯속'
- 차기 금투협 회장 ‘3파전’…코스피 5000 이끌 적임자는
- 'AI 거품론'에 코스피 3900 붕괴…"검은 금요일"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정관장, 'GLPro혈당 루틴 에디션' 한정판 출시
- 2아이톡시, 자본잠식 탈피 '절실'…돈 넣겠다는 법인 정체는
- 3국순당, 프랑스 부티크 와이너리 3곳 와인 동시 론칭
- 4애경그룹, 정기 임원인사 단행…"재도약 속도감 있게 추진"
- 5공공 AI 로봇 솔루션기업 앤로보틱스 출범…"글로벌 로봇 기업 도약"
- 6양산시, '제3기 양산시 청년정책단 성과공유회' 29일 개최
- 7GS건설, 美 이볼로와 수소 생산 플랜트 패키지 개발 착수
- 8코바코, 취약계층 접근성 향상 위한 ‘생성형 AI와 미디어 포용사회’ 세미나 개최
- 9건보공단-네이버 손잡고 질병 통계 서비스…평균 진료비 조회 가능
- 10홈닉, ‘친구추천 이벤트’ 실시…회원에 네이버페이 포인트 지급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