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점수 인플레'에 고신용자 카드론행…갈 곳 잃은 저신용자

[앵커]
고신용자들이 2금융권으로 몰리면서 저신용자와 대출 양극화 현상이 심화하고 있습니다. 신용점수 900점대의 고신용자가 2금융에서도 돈을 빌리지 못해 카드론으로 몰리자, 저신용자들의 대출 문턱은 더욱 높아지고 있습니다. 김도하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서민들의 ‘급전창구’로 불리는 카드론으로 돈을 빌리는 사람들 중에서 고신용자로 분류되는 900점대의 비중이 크게 늘면서 저신용자들이 밀려나고 있습니다.
신용점수 인플레이션 현상이 심화하면서 연쇄적으로 대출 허들이 높아지고 있는 겁니다.
코리아크레딧뷰로(KCB)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신용점수 950점 이상 초고신용자는 1,314만여명에 달합니다. 1년만에 147만명 넘게 늘었습니다.
신용점수 900점 이상은 2,149만3,046명으로 43.4%에 달합니다.
하지만 통신비나 건강보험료 납부 등 비금융 정보가 신용점수에 반영돼 실제 신용도가 개선된 건 아니라는 지적이 나옵니다.
카드사들은 건전성 관리를 위해 우량한 대출자 위주로 카드론을 취급하고 있는데, 이 중에서도 옥석을 가리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싱크] 업계 관계자
"신용평가를 할 때 점수가 너무 인플레가 심하다 보니까 변별력이 없잖아요. 이런 사람들이 향후에 예전 우량 등급만큼이 아니라고 생각이 들면 좀 문제가 되는 거죠…"
전문가들은 신용점수 인플레로 중저신용자들이 불법사금융 등 제도권 밖으로 밀려날 우려가 있다며 현행 법정 최고금리를 손질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싱크] 석병훈 / 이화여대 경제학과 교수
"근본적인 해법은 법정 최고금리를 기준금리에 연동돼서 변화하게 만들어주는 것입니다. 법정 최고금리가 기준금리가 상승하게 되면 결국은 중저신용자들이 등록 대부업체에서 대출을 받을 수 있게 되어가지고 불법 사채 시장으로까지 떠밀려 나가는 상황을 막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고금리와 경기침체가 지속되면서 취약 계층을 위한 ‘포용금융’의 역할론에 다시 관심이 쏠립니다. 서울경제TV 김도하입니다. /itsdoha.kim@sedaily.com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FIU, 두나무에 최대 과태료…봐주기 논란도
- 금융권, 수백조 투입해 '생산적 금융'…리스크 관리는?
- 케이뱅크, 시스템 업데이트로 9일 새벽 서비스 일시 중단
- 엑시온그룹, 3분기 영업익 흑자전환
- IBK기업은행, '2025 서울시 일자리 박람회' 성료
- 흥국에프엔비, 3분기 영업익 27.6% 증가…채널 다변화 본격화
- 코스피, 3%대 급락하며 3900선 붕괴…외인·기관 '팔자'
- 수출입銀, “4분기 수출 전년 동기 수준 1750억 달러”전망
- 퀸잇, '2025 럭퀸세일' 론칭…블랙프라이데이 대전 시작
- 토스뱅크, 고령층 대상 '금융사기 예방 교육' 실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