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진공, 올해 ‘전통시장 체험프로그램’ 20만명까지 확대
하반기부터 ‘찾아가는 전통시장 교육’ 운영

[서울경제TV=정창신기자]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소진공)은 ‘전통시장 미래고객 프로그램’을 올해 20만 명 까지 확대 추진한다고 18일 밝혔다.
이 사업은 전통시장의 미래고객인 어린이를 대상으로 장보기, 온누리상품권 사용, 경제·인성 교육, 그림그리기 대회, 장기자랑 등 다양한 테마로 진행되는 전통시장 체험 프로그램으로, 2022년 시범 운영을 거쳐 작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그 결과 작년 한 해 동안 누적 788개 시장에 13만9,000명의 어린이가 방문하며, 당초 목표였던 10만 명을 초과달성하는 등 높은 호응을 얻었다.
올해 소진공은 1,850여 개의 전통시장·상점가 활성화와 20만 명 참여를 목표로 전통시장에 대한 직·간접적인 경험을 제공해 친숙한 공간으로 인식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참여 대상을 유·초등생에서 중·고등학생 등 청소년까지 확대했다.
특히 5월 동행축제 기간과 연계해 프로그램을 운영한 결과 6월 현재 까지 누적 9만3,000명의 어린이·청소년 고객이 전국 414곳 전통시장을 방문하는 성과를 올렸다.
5월 14일에는 대전 중구 태평시장에서 소진공 임직원 약 30명과 대전시 유치원 어린이 180명이 장보기 체험과 더불어 태평시장에서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백원경매’에 참여하며 경매를 체험해 보는 시간을 제공했다.
5월 29일에는 대구 서남신시장에서 고등학교 재학생 약 100명이 장보기 체험과 창업 경제교육을 받는 시간을 가졌다. 특히, 청년상인의 성공사례 발표가 학생들에게 큰 호응을 얻으며, 전통시장이 창업과 도전의 장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리는 계기가 됐다.
소진공은 하반기부터 더 많은 어린이와 청소년이 전통시장을 이해하고 실물경제 교육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 제공하기 위해 날씨가 덥거나 추워 야외활동이 어려운 시기에는 직접 학교로 방문하여 경제교육을 진행하는 교육기부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청소년들이 올바른 경제관념을 익히고 전통시장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도록 ‘찾아가는 전통시장 교육’을 통해 전국 전통시장이 새로운 배움터가 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박성효 소진공 이사장은 “전통시장은 우리나라의 전통과 역사가 살아 숨 쉬는 문화 공간이자 실물경제를 체감할 수 있는 배움의 장”이라면서, “우리 공단은 어린이와 청소년이 전통시장에 친근감을 느끼고 자주 방문하여 미래고객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시장·경제 교육 기부를 통해 전통시장 활성화는 물론 사회공헌에도 이바지하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csjung@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도요타, 생산량 전망치 상향 조정…1000만대 가능성도
- 트럼프, 파월에 불만 표출…연준의장직 유지 질문엔 "아마도"
- 독일 "패트리엇 2기, 우크라이나 지원"
- 안규백 국방장관, 폴란드 K2 전차 현지 생산 공장 방문
- 빅터차 "트럼프, 무역합의 대가로 방위비 분담금 인상 요구할듯"
- 정부, 민생회복 소비쿠폰 불법 유통 특별 단속
- "디지털 자산 활성 기대"…비트마인에 몰린 서학개미
- 메가팩토리약국, 여름철 취약계층 건강 지원
- 다리 붓기 케어 브랜드 ‘레그랩’, 정제형 신제품 ‘라인포뮬러’ 출시
- 소비쿠폰 신청률 90%…재난지원금 때보다 하루 단축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