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성이 촬영한 올림픽 스타디움 공개" 한화시스템, 英 판버러 에어쇼 참가
글로벌 우주 ·항공 시장 정조준
국내 최초 AESA 레이다 공랭식 기술 선보여

[서울경제TV=이수빈 인턴기자] 한화시스템은 22일부터 26일까지 영국 햄프셔주 판버러 공항에서 열리는 ‘2024 판버러 국제에어쇼'에서 한화에어로스페이스과 함께 약 60평 규모의 통합전시관를 마련하고 우주 설루션 및 미래형 항공 기술 전시를 선보인다고 23일 밝혔다.
한화시스템은 이번 전시에서 지난해 국내 최초 우주로 발사한 민간주도 상용 지구관측 위성인 소형 영상레이더(SAR) 위성과 지구 영상을 공개하고 유텔셋 원웹의 저궤도 통신위성을 활용한 ‘우주 인터넷’ 설루션 등 지상과 우주를 아우르는 다계층·초연결 네트워크 설루션을 선보인다.
이번 전시에서는 소형 SAR위성이 촬영한 세계 곳곳의 영상을 공개한다. 지난 4월 첫 공개한 ▲뉴욕 맨해튼 도심 한복판에 위치한 센트럴 파크 ▲미국 메이저리그 뉴욕 양키스의 홈구장 '양키 스타디움' ▲세계 최대 인공섬인 두바이 ‘팜 주메이라’등을 포함해 ▲ 하계 올림픽이 개최되는 파리 ‘올림픽 스타디움’ ▲선착장과 조선소가 선명히 담긴 국내 목포항 ▲한국군이 해외에서 수행한 최초의 인질 구출 작전지였던 아프리카 아덴만 해역까지 다양한 지역을 선명하게 촬영한 영상을 공개하며 소형 SAR위성의 관측 기술력을 선보인다.
또 대한민국 최초의 전투기에 탑재될 AESA 레이다를 개발·공급하고 있는 한화시스템은 이번 전시에서 경공격기·무인기·소형 항공기 등 각 항공기 특성에 맞는 다양한 AESA 레이다를 선보인다.
국내에선 최초로, 발열이 큰 레이다를 냉각 유체 없이 공기만으로 냉각할 수 있는 ‘공랭식 기술’로 설계·제작해 기존 전투기에 탑재되는 AESA 레이다보다 소형·경량화가 가능해 경공격기뿐 아니라 공격헬기용·무인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특히 무인기용 AESA 레이다엔 초고해상도 SAR를 탑재해 공중∙지상∙해상 정보 수집 및 이동 표적 탐지 임무가 가능해 감시·정찰 및 전투 역량을 극대화 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편 한화시스템은 2021년 3억달러 투자를 단행한 유텔셋 원웹의 위성망을 활용해 지난해 11월부터 ‘상용 저궤도위성기반 통신체계’를 구축 중이다.
한화시스템은 지난 2022년에는 호주의 다계층·초연결 사업 ‘랜드 4140’의 사전정보요청(RFI)에 대한 제안서를 제출했으며 저궤도 위성통신 서비스 사업을 포함한 사업 참여를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q00006@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대법원, 형사소송규칙 개정…이재명 사건재판도 영향
- 미·중 AI 패권 경쟁 격화…中 빅테크들, 투자 '러시'
- 북한, 올해도 자금세탁·테러자금 '고위험국' 지정
- 정부, 日 '다케시마의 날' 행사 항의…"즉각 폐지 엄중 촉구"
- 글로벌 제약사들 대표 만난 트럼프 "미국서 생산 않으면 관세"
- 오세훈 "절박한 심정으로 서울시 조기 추경"
- 트럼프, 찰스 브라운 합참의장 전격 경질…후임 곧바로 지명
- 트럼프, 외국 디지털 규제 조사 대응…韓도 영향 받을까
- 野지도부, '尹파면 촉구대회' 개최…이재명 "주권자 힘 보여달라"
- 조태열, G20 계기 7개국 연쇄 양자 회담 개최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강기정 시장, 주한 일본대사와 우호협력 논의
- 2광주 서구의회 임성화 의원, ‘청소년 복합체육시설’조성 제안
- 3함평군‧전남도‧(주)동우, 67억원 규모 투자협약 체결
- 4대법원, 형사소송규칙 개정…이재명 사건재판도 영향
- 5미·중 AI 패권 경쟁 격화…中 빅테크들, 투자 '러시'
- 6북한, 올해도 자금세탁·테러자금 '고위험국' 지정
- 7정부, 日 '다케시마의 날' 행사 항의…"즉각 폐지 엄중 촉구"
- 8담양군수 재선거 유력후보 A씨…경선불복 ‘10년 후보 무자격’ 당헌에 발목잡히나?
- 9글로벌 제약사들 대표 만난 트럼프 "미국서 생산 않으면 관세"
- 10오세훈 "절박한 심정으로 서울시 조기 추경"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