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부, AI 헬스케어 스타트업·벤처기업 글로벌 진출 방안 모색
EU AI 규제 동향 살펴

[서울경제TV=이수빈 인턴기자] 중소벤처기업부는 서울 양재 엘타워 멜론홀에서 ‘인공지능(AI) 헬스케어 중소벤처기업 육성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고 4일 밝혔다.
AI 헬스케어는 AI를 활용하는 산업 중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분야 중 하나로, 실시간 진단 및 수술 보조, 디지털 치료제, 유전체 분석, 신약 개발 등으로 범위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되는 만큼, 보다 적극적이고 실효성 있는 지원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이에 중기부는 지난 5월 강원도를 AI 헬스케어 글로벌 혁신특구로 지정해 AI헬스케어 기업들이 규제의 제약에서 벗어나 경쟁력 있는 제품을 개발하고, 글로벌 인증기관과 협업하여 신속한 해외 진출이 가능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또한 7월에는 ‘초격차 AI스타트업 레벨업 전략’을 발표해 AI 헬스케어를 AI 스타트업의 고성장 5대 분야 중 하나로 지정해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이번 토론회에서는 ‘유럽연합 AI 규제동향과 강원 글로벌 혁신특구 연계협력 전략’을 주제로 한 발표가 진행됐으며 발제를 한 페렌츠 카진츠 글로벌 의료기기 SW 총괄은 “지난달 EU AI법이 통과돼 2027년부터는 의료기기에 대한 적용이 개시된다"며, “유럽 시장에 진출하고자 하는 강원 AI헬스케어 글로벌 혁신특구 기업이 글로벌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주제발표 이후에는 산·학·연·병 전문가가 AI 헬스케어 기업을 위한 맞춤형 지원정책 설계에 대한 패널토론을 진행했다. 우리나라 AI헬스케어 기업의 역량 진단과 국내 규제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 미국과 유럽의 기술과 규제 동향을 공유했다.
특히 토론자로 참여한 김한수 이화의료원 목동병원장은 수요자 관점에서 병원 내 AI 헬스케어 기술 도입의 필요성, 임상 제공자로서의 병원의 역할과 이화의료원이 기업들과 협력해 이룬 그간 성과와 계획 등을 소개하고, 이러한 협력을 더욱 촉진하기 위해서는 병원의 자율성을 제고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임정욱 창업벤처혁신실장은 “AI 헬스케어 기업 육성을 위해서는 자금지원과 함께 기술 효과성·안전성 입증을 위한 실증·인증지원, 신속한 관련 법·제도 개선 등 다방면의 지원이 필요하다”며 “기업들과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의 의견을 듣고 적극 반영하여 정책을 설계하겠다”고 밝혔다./q00006@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위클리비즈] "한-계란 없다"…배달의민족, 계란 프라이데이 팝업
- 현대건설, ‘가덕도 신공항’ 손 뗀다…“장기표류 가능성”
- “1시간 배송”…이마트·올리브영 ‘퀵커머스’ 승부수
- 네이버 1분기 실적 ‘방긋’…쇼핑앱 효과 ‘톡톡’
- 금호석유화학, 1분기 깜짝 실적…“2분기엔 관세 여파”
- 쎌바이오텍, 1분기 영업이익 14억원… 전년 대비 27.1% 증가
- 씨젠, 1분기 매출 전년 대비 29% 증가… 흑자 전환 성공
- 미시간 주립대, 서울서 글로벌 동문회 개최…“지식·가치 연결하는 플랫폼”
- 종근당, 기억력 감퇴 개선제 '브레이닝캡슐' 캠페인 런칭
- 롯데에머티, 1분기 영업손 460억원…적자전환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