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제약·바이오, 비상계엄 ‘역풍’…“투자유치 타격”
경제·산업
입력 2024-12-11 17:34:02
수정 2024-12-11 18:03:19
이혜란 기자
0개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가 비상계엄 사태에 따른 정치·경제적 불확실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모습입니다. 환율 급등에 글로벌 임상 진행과 원료의약품 수입이 타격을 받는 데다 대통령 직속 국가바이오위원회 출범도 기약 없이 미뤄지고 있습니다. 이혜란 기잡니다.
[기자]
바이오 분야 정책을 총괄·조정하는 대통령 직속 국가바이오위원회 출범이 불투명해졌습니다.
당초 이달 출범 예정이던 국가바이오위원회는 윤석열 대통령이 직접 위원장을 맡아 바이오 정책을 총괄하는 컨트롤타워로 기능할 방침이었는데,
비상계엄 사태로 대통령의 정상적 직무 수행이 어려워지면서 위원회 출범 자체가 무산될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대내외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제약·바이오 기업은 대규모 투자유치나 인수합병(M&A) 등도 타격을 받을 수 있을 거란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정치적 불확실성으로 원달러 환율이 크게 오른 것도 바이오 업계엔 부담이 되고 있습니다.
국내 제약사들은 의약품 생산에 필요한 원료의약품의 대부분을 중국이나 인도에서 수입하고 있기 때문.
우리 제약사들은 원료의약품의 자급률이 2022년 기준 11.9%로 저조한 상황이라 환율 상승은 곧바로 원료의약품의 수입 비용 상승으로 이어지는 구조입니다.
마찬가지로 임상에 투입되는 비용도 늘어날 전망입니다. 임상 시험에 사용하는 부자재들 역시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계엄 사태가 악재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번 상황을 놓고 업계 관계자는 “해외에 원료를 많이 의존하는 제약사들이 가장 큰 타격을 입을 것”이라며, “다만 완제품 수출량이 많은 제약사들은 반사 이익을 받을 수 있어 회사들마다 사업 구조에 따라 희비가 갈릴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서울경제TV 이혜란입니다. /rann@sedaily.com
[영상편집 김가람]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글로벌 제약사들 대표 만난 트럼프 "미국서 생산 않으면 관세"
- 2오세훈 "절박한 심정으로 서울시 조기 추경"
- 3트럼프, 찰스 브라운 합참의장 전격 경질…후임 곧바로 지명
- 4트럼프, 외국 디지털 규제 조사 대응…韓도 영향 받을까
- 5가상화폐 거래소 바이비트 2조원대 '최대 규모' 해킹…"北 소행"
- 6野지도부, '尹파면 촉구대회' 개최…이재명 "주권자 힘 보여달라"
- 7조태열, G20 계기 7개국 연쇄 양자 회담 개최
- 8시리어스펫, ‘2025 케이펫페어 수원’서 신제품 '슬개골 탄탄베드' 공개
- 9美, 패스트트랙 신설해 동맹 투자 확대
- 10트럼프 "우크라와 광물 합의 타결 임박"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