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 은행 희망퇴직 약 2,315명…1년 전보다 24%↑
금융·증권
입력 2025-01-26 08:29:56
수정 2025-01-26 08:30:09
이지영 기자
0개

[서울경제TV=이지영기자] 연말·연초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에서 2,300여명의 직원이 자발적으로 은행을 떠난 것으로 확인됐다.
26일 은행권에 따르면 최근 KB국민·신한·NH농협은행에서만 1,579명의 직원이 희망퇴직으로 짐을 쌌다.
은행별로 보면 국민은행이 647명, 신한은행이 541명, 농협은행이 391명이다.
국민은행 희망퇴직자는 지난해보다 27명 줄었지만, 신한은행과 농협은행에서는 희망퇴직자 수가 1년 전보다 각각 307명, 19명 늘었다.
하나은행에서는 316명이 오는 31일 자로 퇴직할 예정이며, 우리은행도 약 420명이 퇴직할 것으로 전해졌다.
하나은행(226명→316명)과 우리은행(363명→약 420명) 역시 1년 전보다 희망퇴직 하는 직원이 늘었다.
이에 따라 5대 은행 전체에서 연말·연초 희망퇴직으로 회사를 떠나는 직원은 약 2,315명으로 추산된다.
향후 희망퇴직 조건이 나아지기 어렵다는 인식에, 인생 2막을 준비하려는 직원들의 수요까지 맞물리면서 희망퇴직자는 1년 전보다 450명 가까이 늘어났다.
1년 전(1,869명)과 비교하면 퇴직자 수가 23.9% 증가했다.
주요 은행 희망퇴직자들은 평균 4∼5억원, 많게는 10억원 가까운 퇴직금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은 이번에 희망퇴직금으로 근무 기간 등에 따라 최대 31개월 치, 농협은행은 최대 28개월 치 임금을 지급한다.
은행권 희망퇴직이 늘어난 것은 희망퇴직 조건이 나빠질 수 있다는 인식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 시기 불어난 대출에 고금리가 겹치면서 역대 최대 수익을 이어갔지만, 금리 인하가 시작됐고 경기까지 얼어붙으면서 올해 경영 여건이 녹록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이다.
아울러 은행권 희망퇴직 대상 연령대가 확대된 측면도 있다. 주요 은행 대부분이 50대뿐 아니라 40대를 대상으로도 희망퇴직을 받고 있다.
특히 신한은행은 이번 희망퇴직에서 리테일 서비스 직원 중 근속 7.5년 이상, 1986년생 이전 출생 직원도 신청 대상으로 포함하면서, 30대 직원까지 희망퇴직 신청을 받았다.
희망퇴직 조건이 몇 년 전보다 나빠졌다고는 하지만, 퇴직자들은 올해에도 평균 4∼5억원, 많게는 10억 원가량의 퇴직금을 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은행별 2023년 경영현황 공개보고서에 따르면 5대 은행의 1인당 평균 희망퇴직금은 3∼4억원 정도다.
하나은행이 평균 4억 915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우리은행(4억 265만원), 국민은행(3억 8,100만원), 농협은행(3억 813만원), 신한은행(3억 746만원) 순이었다. /easy@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민병덕 "MBK 홈플러스 인수에 6000억 이상 공적자금 투입…엄중 수사 필요"
- 은행권 경계 허무는 '임베디드 금융' 뜬다
- “유커 돌아온다”…호텔·카지노株 최대 수혜?
- 한화생명, 이익 급감…해외 확장 전략 부담
- 나라셀라, 2분기 매출액 185억…전년比 4.8%↑
- 센코, 상반기 매출 159억 원…대외 변수 속 안정적 성장
- 그린플러스, 국내 스마트팜 수주 호조…상반기 매출 23.5% 성장
- KS인더스트리 “9월 임시주총 소집…이사 선임 안건 등 추진”
- 알엔투테크놀로지, 2분기 매출 44억…전년比 72.9%↑
- DB증권, 상반기 영업익 568억원…전년比 14% 증가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남원시민, 광복절에 외친 '경제독립'…남원경제살리기 시민연대 출범
- 2남원시, 광복 80주년 기념행사·특별 음악회 성료
- 3'맨발로 걷는 80년의 역사'…완도군 '광복 80주년 기념 맨발 걷기 퍼포먼스' 개최
- 4국가보훈부, 광복 80년 기념사업 ‘80개의 빛, 하나된 우리’ 개최
- 5KE솔루션, 각형배터리 케이스 및 전극류 양산 라인 구축 검토
- 6대경경자청, 영천 대달산업 화재사고 관련 대책회의 가져
- 7대경대 연기예술과, 거창세계대학연극제 연극부문 4관왕 석권
- 8대구 중구, 근대골목 밤마실 야간투어 코스 확대 운영
- 9대구대 동아시아관광연구소, ‘지역재해 극복관광’ 세미나 개최
- 10대구행복진흥원, 세계 청소년의 날 기념 물총축제 성공적 개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