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화 실질가치 세계 두 번째로 약해져…"계엄 여파"
금융·증권
입력 2025-01-26 09:02:30
수정 2025-01-26 09:02:30
이지영 기자
0개

26일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한국의 실질실효환율 지수는 지난해 12월 말 기준 91.03(2020년=100)으로 전월보다 1.99포인트(p) 하락했다.
실질실효환율은 한 나라의 화폐가 상대국 화폐보다 실질적으로 어느 정도의 구매력을 가졌는지를 나타내는 환율이다.
이는 기준 시점과 현재 시점 간의 상대적 환율 수준을 평가하는 방식으로, 수치가 100을 넘으면 기준 연도 대비 고평가, 100보다 낮으면 저평가돼 있다고 간주한다.
결국 원화 실질 가치가 상당히 저평가돼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BIS 통계에 포함된 64개국 중에서는 한국이 극심한 엔화 약세를 겪는 일본(71.3)에 이어 두 번째로 절대적인 수치가 낮은 상태다.
아울러 지난해 12월 중 한국의 변동 폭(-1.99p)은 브라질(-3.94p), 오스트레일리아(-2.37p)에 이어 전체 64개국 중 세 번째로 컸다.
한국만 보면 이 변동 폭은 지난 2022년 9월(-2.92p) 이후 2년 3개월 만에 가장 큰 수치기도 했다. 당시는 레고랜드 사태 여파로 원달러 환율이 1,440원대까지 치솟았던 때다.
한국의 실질실효환율 지수는 외환위기 당시 68.1,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78.7까지 떨어진 적 있다. 근래엔 2020년 10월부터 이듬해 7월까지 100선을 웃돌다가 이후 90 중반대를 맴돌았다.
미국 경기 호조로 달러화가 강세를 지속하는 가운데 일본 엔화와 중국 위안화가 동반 약세를 보이며 원화 가치 하락을 이끄는 흐름이 수년간 지속됐다.
이후 지난해 하반기 들어 95선 아래로 내려온 지수는 10~11월 93을 웃돌다가 12월 들어 계엄 사태를 계기로 90 초반대까지 뚝 떨어졌다.
이는 원달러 환율이 지난해 12월 3일 계엄 당일 밤 1,442.0원까지 급등한 뒤 19일 1,450원을 넘기고, 27일에는 1,486.7원까지 치솟은 상황을 반영한 결과로 해석된다.
지난해 12월 중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가치 절하율은 -5.3%로, 전쟁 중인 러시아의 루블화(-6.4%)에 이어 주요 30개국 통화 중 두 번째로 큰 폭의 가치 하락을 기록했다.
원화 가치가 다른 나라 통화보다 유독 크게 떨어진 것은 상당 부분 정치 불확실성 탓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한은 관계자는 "지난달 실효 환율이 크게 떨어진 것은 원화가 달러화뿐 아니라 다른 통화에 비해서도 상대적으로 약세를 보였다는 뜻"이라며 "국내 정치 불확실성을 반영해 더 약세로 간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라고 말했다.
그는 다만 "특정 시점의 국가 간 실효 환율 비교는 노이즈가 커서 의미 있는 분석이 어려울 수 있다"며 "우리의 주요 무역 상대국 중 관리 통화 환율 국가가 많아 원화만 시장을 반영하고 해당 국가들은 반영하지 못하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easy@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민병덕 "MBK 홈플러스 인수에 6000억 이상 공적자금 투입…엄중 수사 필요"
- 은행권 경계 허무는 '임베디드 금융' 뜬다
- “유커 돌아온다”…호텔·카지노株 최대 수혜?
- 한화생명, 이익 급감…해외 확장 전략 부담
- 나라셀라, 2분기 매출액 185억…전년比 4.8%↑
- 센코, 상반기 매출 159억 원…대외 변수 속 안정적 성장
- 그린플러스, 국내 스마트팜 수주 호조…상반기 매출 23.5% 성장
- KS인더스트리 “9월 임시주총 소집…이사 선임 안건 등 추진”
- 알엔투테크놀로지, 2분기 매출 44억…전년比 72.9%↑
- DB증권, 상반기 영업익 568억원…전년比 14% 증가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남원시민, 광복절에 외친 '경제독립'…남원경제살리기 시민연대 출범
- 2남원시, 광복 80주년 기념행사·특별 음악회 성료
- 3'맨발로 걷는 80년의 역사'…완도군 '광복 80주년 기념 맨발 걷기 퍼포먼스' 개최
- 4국가보훈부, 광복 80년 기념사업 ‘80개의 빛, 하나된 우리’ 개최
- 5KE솔루션, 각형배터리 케이스 및 전극류 양산 라인 구축 검토
- 6대경경자청, 영천 대달산업 화재사고 관련 대책회의 가져
- 7대경대 연기예술과, 거창세계대학연극제 연극부문 4관왕 석권
- 8대구 중구, 근대골목 밤마실 야간투어 코스 확대 운영
- 9대구대 동아시아관광연구소, ‘지역재해 극복관광’ 세미나 개최
- 10대구행복진흥원, 세계 청소년의 날 기념 물총축제 성공적 개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