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국민소환제 제안에 '주민소환제'에 쏠리는 관심…성공률 1.36%
경제·산업
입력 2025-02-15 12:44:52
수정 2025-02-15 12:44:52
김도하 기자
0개
![](/data/sentv/image/2025/02/15/sentv20250215000013.800x.0.jpg?v=518175)
행정안전부가 최근 발표한 '주민소환 운영현황'에 따르면 2007년 주민소환제 첫 도입 이후 지난해까지 총 147건이 청구돼 이 중 2건만 투표가 가결돼 직 상실로 이어졌다. 성공률은 1.36%에 그쳤다.
주민소환제는 주민 투표를 실시해 결과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장이나 지방의원을 해직할 수 있는 제도다.
강원 양양군의 경우 오는 26일 김진하 군수 주민소환투표가 예정돼 있다.
주민소환제 청구 단체는 투표 실시를 위해 주민 15% 이상의 서명을 받아야 하는 등 추진 과정부터 쉽지 않다.
또 주민 소환제 대상은 지방의 선출직 자치단체장·의원으로, 국회의원은 이에 해당하지 않아 주민 소환 자체가 불가능하다.
일각에서는 국회의원 대상 '국민소환제'에 대한 필요성을 이전부터 제기해온 가운데,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민주당 의원들을 중심으로 관련 법안들이 잇따라 발의하고 있다.
앞서 이 대표는 지난 10일 국회 교섭단체대표 연설에서 "'민주적 공화국'의 문을 활짝 열겠다. 그 첫 조치로 국회의원 국민소환제를 도입할 것"이라고 제안한 바 있다. 국회의원 국민소환제는 국민 투표를 통해 국회의원을 임기 만료 전에 파면할 수 있다. /itsdoha.kim@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프로필 사진](/data/sentv/upload/2024/01/05/20240105011604.png)
관련뉴스
- 트럼프·머스크, 美공무원 1만명 해고…수습부터 잘랐다
- 오픈AI "머스크 '140조원 인수' 제안 만장일치 거부"
- 이재명 "상속세 때문에 집 팔고 떠나지 않게 하겠다"
- 딥시크, 정책 일부 변경…개인정보 보관은 그대로
- 트럼프, 캐나다·프랑스에 '테크 과세' 정조준
- 트럼프 압박에 TSMC도 움찔…"인텔 美공장 인수 고려"
- 일본 상장기업 지난해 4∼12월 순익 15%↑…임금 인상 영향
- 오늘 조태열-루비오 독일서 첫 한미 외교회담
- 워런 버핏의 버크셔, 애플 매도 멈추고 은행주는 또 팔아
- 현대차, 캐나다 '올해의차' 2관왕…싼타페·아이오닉5N 선정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광주시민 군부독재 항쟁 거점 5‧18민주광장, 윤석열 탄핵 찬반집회 맞불
- 2트럼프·머스크, 美공무원 1만명 해고…수습부터 잘랐다
- 3오픈AI "머스크 '140조원 인수' 제안 만장일치 거부"
- 4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49재 합동위령제 거행
- 5이재명 "상속세 때문에 집 팔고 떠나지 않게 하겠다"
- 6딥시크, 정책 일부 변경…개인정보 보관은 그대로
- 7트럼프, 캐나다·프랑스에 '테크 과세' 정조준
- 8트럼프 압박에 TSMC도 움찔…"인텔 美공장 인수 고려"
- 9일본 상장기업 지난해 4∼12월 순익 15%↑…임금 인상 영향
- 10오늘 조태열-루비오 독일서 첫 한미 외교회담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