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직하려면 정부 허가?”…美·中 AI 패권 경쟁 심화
경제·산업
입력 2025-03-17 18:42:06
수정 2025-03-17 18:42:06
이수빈 기자
0개

글로벌 빅테크들의 인공지능(AI) 패권 경쟁이 단순 기술 차원을 넘어 정부 차원의 전략 경쟁으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최근 중국 정부는 딥시크 기술 유출 방지를 위해 직원들의 여행과 이직을 제한하는 등 집중 관리에 들어갔는데요. 미국 빅테크 기업들도 이에 질세라 중국발 AI 사용 금지 규제를 촉구하며 정부에 손을 뻗는 모습입니다. 이수빈 기잡니다.
[기자]
글로벌 AI 패권 경쟁이 기업을 넘어 정부 차원으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중국 정부는 딥시크 기술 유출 방지를 위한 집중 관리에 들어갔습니다.
딥시크와 모회사 하이플라이어 일부 직원들은 최근 중국 정부로부터 여행 제한 조치와 여권을 제출하라는 지시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중국 정부는 딥시크 직원들의 이직도 통제하는 모습입니다.
최근 딥시크 직원에 이직을 제안한 헤드헌터는 정부 관리로부터 직원을 건드리지 말라는 연락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같은 조치는 중국이 AI 인력과 기술을 국가 중요 자산으로 보고 국가 차원에서 직접 단속에 들어간 것으로 분석됩니다.
미국 빅테크 기업들도 정부에 손을 내밀고 있습니다.
오픈AI는 트럼프 행정부에 보안상 이유를 들어 중국발 AI 모델 사용을 전면 제한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오픈AI는 13일 백악관 과학기술정책실에 제출한 AI 행동 지침 정책 제안서를 통해 미국을 비롯한 우방국에서 딥시크와 같은 중국의 AI 모델을 사용할 수 없도록 금지하는 방안을 검토해달라고 요구했습니다.
오픈AI가 직접적으로 중국산 모델의 퇴출을 주장하고 나선 건 이례적인 일입니다.
앤스로픽도 정부 차원의 딥시크 규제를 주장하고 나섰습니다.
다리오 아모데이 앤스로픽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10일 미국 외교관계위원회 행사에서 “중국이 대규모 산업 스파이 활동으로 유명하다”며 “미국 AI 기업들의 기밀 유출을 막기 위해 정부가 개입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정부 차원의 전략 경쟁에 돌입한 AI 업계.
AI가 기술을 넘어 글로벌 지배력을 좌우할 수 있는 요소로 부각되면서, 글로벌 패권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입니다.
서울경제TV 이수빈입니다. /q00006@sedaily.com
[영상편집 유연서]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무보, 미 해운사 한국 선박 인수에 3.5억달러 보증지원
- 임형주, KBS 생방송서 '카네기홀 데뷔 의상' 첫 공개
- 광고명가 "쿠팡 애즈콘 인터뷰 참여…인증 파트너사 중 유일"
- NHN두레이, 중소기업중앙회에 'Dooray AI' 도입
- 한전KDN, 해외 에너지ICT 진출 위한 토론회 개최
- 만트라, 인베니암과 전략적 제휴…2000만달러 투자 유치
- 기아, 노사 공동 목표 선언…"안전 최우선 원칙"
- 롯데웰푸드, '설레임' 7월 매출 전년 대비 60%↑
- 농심 메론킥, 북미 등 글로벌 시장 공략
- ‘건강 100세 위한 스포츠 정책 토론회’, 13일 국회서 개최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안심 먹거리' 장성군, 농산물 안전 분석실 개소
- 2무보, 미 해운사 한국 선박 인수에 3.5억달러 보증지원
- 3장흥군, 귀농·귀촌인 대상 농업기계 활용 교육…첨단기술 경쟁력 강화
- 4임형주, KBS 생방송서 '카네기홀 데뷔 의상' 첫 공개
- 5고흥군, 팔영산 편백 치유의 숲서 고향사랑기부제 캠페인
- 6'감쪽같은 전어축제', 보성서 펼쳐지는 여름 미식 여행
- 7광고명가 "쿠팡 애즈콘 인터뷰 참여…인증 파트너사 중 유일"
- 8NHN두레이, 중소기업중앙회에 'Dooray AI' 도입
- 9남원경찰서, 2025년 2차 불법무기 자진신고 기간 운영
- 10남원시립국악단, '소녀 춘향' 이틀 연속 만석…대중성·작품성 동시 입증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