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세계푸드, ‘노브랜드 버거’ 집중…“가성비 전략 한계”
경제·산업
입력 2025-04-22 17:13:39
수정 2025-04-22 20:26:28
이혜연 기자
0개
신세계푸드, 실적 부진 브랜드 정리…수익성 개선 박차
노브랜드 버거, 폐점 매장 늘어…“가성비 콘셉트 부족”
노브랜드 피자·스무디킹 등 사업 종료…본격 구조조정

[앵커]
신세계푸드가 외식사업 재편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수익성이 낮은 브랜드는 과감히 정리하고, ‘노브랜드 버거’를 중심으로 선택과 집중 전략을 펼치고 있는데요. 하지만 중저가 버거 시장의 경쟁자가 늘어나면서 가성비 전략만으론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이혜연 기잡니다.
[기자]
신세계푸드가 노브랜드 버거를 중심으로 수익성 개선에 나서고 있습니다.
스무디킹이나 오슬로 등 실적이 저조한 브랜드는 접거나 매장을 줄이는 등 사업 재편에 속도를 내고 있는 모습입니다.
노브랜드 버거는 지난 2019년 가성비 버거로 등장한 이후 빠른 속도로 매장을 늘려왔습니다.
서울 홍대에 1호점을 오픈한 이후 업계 최단 기간인 1년 8개월 만에 100호점을 돌파했고, 지난해 265개로 매장을 늘린데 이어 올해는 279개로 집계됐습니다.
신세계푸드는 지난해 10월 새 수장에 오른 강승협 대표 주도로 외식사업 포트폴리오를 대대적으로 재편하고 있습니다.
특히 외식사업보다 수익성이 높은 식품 유통 서비스에 집중하면서 신세계푸드의 부채를 줄여간다는 방침.
신세계푸드의 부채는 지난해 기준 5401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부채비율은 184%로 2023년 202%(5855억원)보다 줄었지만, 여전히 식품업계 평균 부채비율인 80~100%를 웃도는 수치입니다.
이에 신세계푸드는 실적이 저조한 브랜드를 대상으로 구조조정에 나서고 있습니다.
아이스크림 브랜드 ‘오슬로’(6곳), 이탈리안 레스토랑 ‘베키아에누보’(5곳), 수제맥주 펍 ‘데블스도어’(2곳) 등 외식 브랜드의 매장 수를 줄이고 있고, 최근엔 ‘노브랜드 피자’와 ‘스무디킹’의 사업 종료도 발표했습니다.
신세계푸드가 노브랜드 버거 외형 확장을 통해 수익성 개선에 나서고 있는 가운데, 중저가 버거 시장은 경쟁자가 늘고 있는 상황.
지금의 가성비 전략만으론 한계가 있는 만큼 위기극복을 위한 동력이 더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서울경제TV 이혜연입니다. /hy2ee@sedaily.com
[영상취재 김경진 /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민주 진성준 "추경 20조는 더 필요…13조로 경기 방어 안 돼"
- MBK "한화 지분 헐값 처분, 1000억대 손해 봐"…고려아연 "억측"
- 구글, 잇단 사법 리스크…실적 타격 ‘어쩌나’
- 도시정비 양극화…삼성 ‘5조’·현엔·SK ‘제로’
- 생존 위기 몰린 석화업계…‘4사4색’ 고비 넘기
- SKT, 1분기 ‘선방’…“2분기 해킹 여파 본격화”
- HMM, 영구채 완전 청산…새 주인 찾기 ‘잰걸음’
- 한국MSD,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 20곳과 기술이전 등 파트너십 체결
- 감동공장, AI로 제작 시간 40% 단축…글로벌 교육 시장 진출 속도
- 마드라스체크, 액션파워와 MOU 체결…"AI 음성인식 기술 협업"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민주 진성준 "추경 20조는 더 필요…13조로 경기 방어 안 돼"
- 2완주군 꿈드림, 2025년 제1회 검정고시 20명 중 19명 합격 쾌거
- 3“아! 오월, 다시 만난 오월”…5·18민중항쟁 45주년 전북기념행사 개최
- 4국민연금공단, 전주서 ‘제2회 NPS 포럼’ 개최…연금개혁·지역상생 논의
- 5전북자치도교육청 "NASA 글로벌 캠프 신청하세요"
- 6서거석 전북교육감“스승에 감사의 마음 전하는 한 주”
- 7유희태 완주군수 “인구 10만 눈앞…전 부서 총력 대응 나서야”
- 8사단법인 기본사회 전북본부, 출범 3주년 기념식 성료
- 9유희태 완주군수, 세종청사 찾아 국가예산 확보 총력
- 10무주군, 2026·2027 세계태권도 그랑프리 개최지 최종 선정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