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테마주’에 출렁이는 증시…투자경고 종목 속출
금융·증권
입력 2025-05-10 08:00:06
수정 2025-05-10 08:00:06
권용희 기자
0개
4월 투자경고 종목 지정 건수 총 56건
“기업 실적과 무관해 투자 주의 요구”

[서울경제TV=권용희기자] 조기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이른바 ‘정치 테마주’가 급등락하면서 금융당국의 시장 조치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달 코스피(유가증권시장)와 코스닥시장에서 시장경보제도상 투자경고 종목 지정 건수는 총 56건으로 월 기준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11건 대비 5배에 달하는 수치다.
지난 1월 20건이던 투자경고 종목 지정 건수는 2월 16건, 3월 6건으로 줄었지만 4월 들어 56건으로 급증했다.
5월 들어서도 투자경고종목 지정은 이어지고 있다. 지난 8일 기준 총 7개 회사가 투자경고 종목에 지정됐다. 이 중 코스피 상장사와 코스닥 상장사는 각각 2개, 4개다.
시장경보제도는 소수 계좌에 매매가 집중되거나 주가가 일정 기간 급등하는 등 불공정거래 가능성이 있는 종목에 대해 거래소가 투자위험을 고지하는 제도다. 투자주의→투자경고→투자위험 3단계로 구분된다.
투자경고 종목은 지정 후 추가로 주가가 급등하는 경우 거래가 정지될 수 있으며 투자위험 종목은 지정 당일 1일간 거래가 정지된다.
지난달 투자주의 종목 지정 건수는 330건으로 지난해 동기 113건 대비 3배 가까이 늘었다. 투자위험 종목 지정 건수도 3건을 기록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 파면 결정 이후 주요 후보 관련주를 중심으로 시장 변동성이 확대된 탓으로 풀이된다.
이런 가운데 향후 변동성은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최근 서울고등법원은 이재명 대표의 첫 공판기일을 대선 이후로 연기했고, 김문수 후보와 한덕수 전 총리의 단일화 이슈 등 정치 상황이 급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거래소는 “대선기간 정치 테마주에 대한 모니터링 및 시장조치를 적극적으로 실시하겠다”며 “불공정거래 행위 포착시 금융당국과 공조해 강력 대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테마주 관련 불공정거래가 의심되는 행위를 알게 되는 경우 한국거래소 시장감시위원회 불공정거래신고센터에 적극 신고해달라”고 당부했다.
금융투자업계에서는 정치 테마주의 변동성이 큰 만큼 주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후보와의 학연·지연 등을 앞세우는 등 주가 변동이 해당 기업의 실적과는 무관하다는 이유에서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정치 테마주는 합리적인 기업 실적에 대한 기대감에 기반해 가격이 움직이는 게 아니라 투기적 거래 수요들이 집중되는 것"이라며 "대부분 단기적으로 잠깐 가격이 올랐다가 이전 가격보다 더 낮은 수준으로 떨어진다"고 밝혔다.
이어 "대규모 투자 손실로 연결될 수 있어 투자자들은 신중히 판단해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yonghee@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SK텔레콤 해킹 사고 이후 이심 사용 증가
- 2네이버 "넷플릭스 요금 인상해도 제휴 멤버십 요금 유지"
- 3한덕수측, 국민의힘 후보 교체에 "단일화 과정"
- 4한덕수 "나는 용병 아닌 식구…야당 폭주에 3년간 함께 싸워와"
- 5더불어민주당, 국힘 대선 후보 교체 비판…"폭력으로 대선 후보 강탙"
- 6국힘, 초유의 대선후보 교체 강행…김문수 취소하고 한덕수 등록
- 7국힘 후보 교체에 비주류 반발…"한밤 쿠데타"
- 8이낙연, 대선 불출마 선언…다른 사람 선거 돕지도 않을 것
- 9김문수, 대통령 후보 박탈 '반발'…법적·정치적 대응 예고
- 10원화 강세 오자 서학개미들 "미국 주식 팔자" 행렬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