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때도 증가한 국내 해양관광 소비 지난해 감소
경제·산업
입력 2025-06-28 09:46:25
수정 2025-06-28 09:46:25
이수빈 기자
0개
전년 比 4.95%↓

우리나라 해양관광 시장 소비 규모는 2020년 28조6535억원에서 2021년 31조3357억원(9.4%↑), 2022년 37조4441억원(19.5%↑), 2023년 40조9430억원(9.3%↑)으로 코로나 팬데믹 시기에도 꾸준히 증가했다.
하지만 지난해에는 전국적인 소비 위축과 경기 부진 영향으로 해양관광 시장 소비가 크게 줄어든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지난해에는 전국 11개 연안 지역 모두에서 해양관광 소비가 일제히 감소했다.
지역별로는 제주 연안이 -9.4%로 가장 큰 하락 폭을 기록했고, 인천 연안과 전남 연안이 각각 -6.4%로 소비 위축이 두드러졌다.
전국에서 해양관광 시장 소비 규모가 가장 큰 지역은 부산 연안으로 6조3796억원을 기록했고, 이어 전남 연안 5조1945억원, 경남 연안 5조1633억원 순이다.
계절별 해양관광 시장 소비 규모를 살펴보면 여름이 10조2922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가을 9조7866억원, 봄 9조7천271억원, 겨울 9조1147억원 순으로 집계됐다.
이는 해양관광 시장 소비가 전통적인 성수기인 여름과 가을 중심에서 벗어나 봄과 겨울철에도 일정 수준 유지돼 사계절형 해양관광으로 전환 가능성을 보여준다.
업종별 소비 동향에서는 음식 업종이 전체 해양관광 소비의 58.3%를 차지하며 가장 높은 비중을 유지했다.
해양수산개발원 측은 "외부 변수에 취약한 해양관광 시장 구조를 외지인 중심의 단기 소비에서 벗어나 내지인을 포함한 지역 생활권 기반의 정주형 관광 수요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고령층과 청년층 등 세대별 특성에 맞춘 맞춤형 콘텐츠 기획, 여름·가을 성수기에 집중된 수요를 분산시키는 사계절형 운영, 업종별 소비 흐름에 대응한 체류형 관광 활성화 등 구조 개편이 요구된다"고 밝혔다./q00006@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관련뉴스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안동 풍산시장, 공모사업 선정으로 미식관광 거점화 첫걸음
- 2안동시, ‘K-미식 전통주 벨트 팝업열차’ 출시
- 3안동시, 고향사랑기부제 누적 30억 원 달성
- 4경북도, 광복 80주년 기념 특별기획전 및 추모벽 명각식 개최
- 5경북도, APEC 전 분야 현장준비체제 대전환
- 6경북 시청자미디어센터, 포항 오천읍에 ‘첫 삽’
- 7김정기 대구시장 권한대행, 경제부총리 만나 핵심현안 지원 요청
- 8대구시, 제80주년 광복절 맞아 뜻깊은 경축행사 개최
- 9대구 북구, '온-배움' 온라인 평생학습 하반기 학습자 모집
- 10대구 북구, 대구 지역 최초 고향사랑기부제 민간플랫폼 ‘위기브’와 모금 계약 체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