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때도 증가한 국내 해양관광 소비 지난해 감소
경제·산업
입력 2025-06-28 09:46:25
수정 2025-06-28 09:46:25
이수빈 기자
0개
전년 比 4.95%↓

우리나라 해양관광 시장 소비 규모는 2020년 28조6535억원에서 2021년 31조3357억원(9.4%↑), 2022년 37조4441억원(19.5%↑), 2023년 40조9430억원(9.3%↑)으로 코로나 팬데믹 시기에도 꾸준히 증가했다.
하지만 지난해에는 전국적인 소비 위축과 경기 부진 영향으로 해양관광 시장 소비가 크게 줄어든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지난해에는 전국 11개 연안 지역 모두에서 해양관광 소비가 일제히 감소했다.
지역별로는 제주 연안이 -9.4%로 가장 큰 하락 폭을 기록했고, 인천 연안과 전남 연안이 각각 -6.4%로 소비 위축이 두드러졌다.
전국에서 해양관광 시장 소비 규모가 가장 큰 지역은 부산 연안으로 6조3796억원을 기록했고, 이어 전남 연안 5조1945억원, 경남 연안 5조1633억원 순이다.
계절별 해양관광 시장 소비 규모를 살펴보면 여름이 10조2922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가을 9조7866억원, 봄 9조7천271억원, 겨울 9조1147억원 순으로 집계됐다.
이는 해양관광 시장 소비가 전통적인 성수기인 여름과 가을 중심에서 벗어나 봄과 겨울철에도 일정 수준 유지돼 사계절형 해양관광으로 전환 가능성을 보여준다.
업종별 소비 동향에서는 음식 업종이 전체 해양관광 소비의 58.3%를 차지하며 가장 높은 비중을 유지했다.
해양수산개발원 측은 "외부 변수에 취약한 해양관광 시장 구조를 외지인 중심의 단기 소비에서 벗어나 내지인을 포함한 지역 생활권 기반의 정주형 관광 수요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고령층과 청년층 등 세대별 특성에 맞춘 맞춤형 콘텐츠 기획, 여름·가을 성수기에 집중된 수요를 분산시키는 사계절형 운영, 업종별 소비 흐름에 대응한 체류형 관광 활성화 등 구조 개편이 요구된다"고 밝혔다./q00006@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관련뉴스
- 정부 "국정자원 화재로 정부 업무시스템 647개 가동 중단"
- 기재차관, 위기상황대응본부 긴급소집…e나라도움 등 피해 점검
- 美대법원, 트럼프 '국제원조예산 5.6조원 동결' 허용
- "현지 업체 반응 뜨거워"…NC AI, 도쿄게임쇼 참가
- 정부 내부 업무망 '온나라시스템' 마비…"접속 불가"
- WSJ "美 자동차 산업, 경제에 경고 신호 보내"
- 통계청 "통계청 홈페이지·국가통계포털 등 서비스 되지 않아"
- 정부 고위관계자 "경주APEC계기 북미 정상대화 가능성 배제못해"
- 美의약품관세, 日·EU 15%…韓 당분간 100%
- 톤캬, 현대백화점 판교점 ‘팝업스토어’ 오픈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박준형(녹색경제신문 기자)씨 조부상
- 2금융당국 '국정자원 화재' 긴급회의…"일부 금융서비스 차질"
- 3펫코노미 시대, 관광의 새로운 해답은 ‘반려동물 동반여행’
- 4정부 "국정자원 화재로 정부 업무시스템 647개 가동 중단"
- 5기재차관, 위기상황대응본부 긴급소집…e나라도움 등 피해 점검
- 6美대법원, 트럼프 '국제원조예산 5.6조원 동결' 허용
- 7하반기 은행, 건전성 시험대…부실채권 시장이 관건
- 8"현지 업체 반응 뜨거워"…NC AI, 도쿄게임쇼 참가
- 9정부 내부 업무망 '온나라시스템' 마비…"접속 불가"
- 10WSJ "美 자동차 산업, 경제에 경고 신호 보내"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