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환원보다 자금조달"…자사주 소각 앞서 EB 급증
금융·증권
입력 2025-07-21 17:22:02
수정 2025-07-21 18:50:58
김효진 기자
0개
[앵커]
자사주 소각 의무화가 법제화되려는 움직임이 뚜렷해지고 있는 가운데 EB, 즉 교환사채 발행에 나서는 상장사가 늘고 있습니다. 자사주를 소각하기보다 자금 조달에 활용하거나, 우호 지분을 지키겠다는 의도인데요. 주주들은 자사주 소각을 피하려는 꼼수가 아니냐는 지적입니다. 김효진 기잡니다.
[기자]
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최근 3개월간 기업들이 발행한 교환사채(EB)는 19건. 발행 금액으로는 1조957억원.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발행 금액이 110.7% 증가했습니다.
지난 2일 SK이노베이션이 3767억원이 넘는 교환사채(EB)를 발행하고, 14일에는 SNT다이내믹스가 1100억원 규모의 교환사채(EB)를 발행하는 등 대규모 교환사채(EB) 발행이 급격히 늘어났습니다.
이처럼 상장사들이 교환사채(EB) 발행을 늘리는 이유는 자사주 소각 의무화를 법제화 하려는 움직임 때문.
자사주 소각 의무화가 법제화되기 전 경영권 분쟁 시 활용할 수 있는 우군 지분을 확보해놓으려는 겁니다. 아울러 자사주를 소각해 주주환원을 높이기 보다 자금조달에 활용하겠다는 의지로도 해석됩니다.
교환사채(EB)를 발행하면 자사주 지분을 제3자에게 넘기는 효과가 발생하고, 제3자가 채권을 주식으로 교환하는 교환권을 행사하면 의결권이 부활합니다.
[싱크] 김필규 /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
“우리(나라)는 이제 그 자사주 자체를 우호 지분의 형태로 가지고 가는 상황이어서”
“기왕 지니고 있는 것들을 소각시키지 않는 방향으로 교환사채를 대개 활용한다…”
기업들은 자사주를 소각하면 경영권 분쟁 시 우군에게 넘길 수 있는 지분이 줄어 지배력이 떨어져 경영권 방어가 어렵다는 의견. 자사주 소각을 피하기 위해 법제화 돌입 전 대규모 교환사채(EB)를 발행하며 자사주 비율을 낮추는 모습입니다.
하지만 이 같은 교환사채(EB) 발행은 자사주 소각 의무화의 원래 목적인 자본시장 밸류업과는 일치하지 않습니다. 자사주를 소각하면 통상 즉각적인 주가 상승 효과가 발생하는데, 교환사채(EB) 발행은 이같은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이에 주주들은 “자사주 소각을 피하기 위한 꼼수가 아니냐”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서울경제TV 김효진입니다. /hyojeans@sedaily.com
[영상편집 유연서]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에스티큐브 “대장암 1b상 결과 전원 종양 감소”
- [부고] 서민우(플루토스 부장) 씨 조모상
- 메드팩토 “백토서팁, 골육종 임상서 완전관해(CR) 달성”
- 한투증권, 소비자보호 TF 신설…”설계부터 판매까지 전 과정 혁신”
- 메리츠증권, 글로벌 핀테크 ‘위불’과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
- 한국콜마, 3분기 실적 기대치 하회…목표가↓-SK
- KB금융그룹, 5년간 110조원 규모 생산적·포용금융 추진
- 신한금융그룹, 생산적·포용금융 5년간 110조원 투입한다
- 카카오뱅크, MSCI ESG 평가서 최고 등급 AAA 획득
- 콘텐츠 업체가 농수축산업을? 한계기업의 무더기 신사업 예고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포스코이앤씨, 하이엔드 인테리어 '아틀리에 에디션' 공개
- 2남원서 울려 퍼진 판소리의 혼, 제33회 금파 강도근 대회 성료
- 3남원에서 걷는 4km의 행복…구룡폭포길에 가을이 물들다
- 4현대百, 무역센터점서 ‘귤냥이와 친구들’ 팝업스토어 운영
- 5광주 첫 당구월드컵, 조명우 우승…세계 1위 등극
- 6담양군, '제7회 대한민국 솔라리그' 최우수상
- 7“AI로 현실문제 해결”…쿠팡, 글로벌 해커톤 ‘핵서울 2025’ 성료
- 8하슬라아트월드, ‘강릉 겨울 가볼만한곳’ 주목
- 9하츠, 욕실 전문 브랜드 '하츠바스' 전국 50개 대리점 돌파
- 10"남원시민 5천 명이 뭉쳤다" 남원시민체육 화합한마당 성료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