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환원보다 자금조달"…자사주 소각 앞서 EB 급증

금융·증권 입력 2025-07-21 17:22:02 수정 2025-07-21 18:50:58 김효진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주주환원보다 자금조달”…자사주 소각 앞서 EB 급증


[앵커]
자사주 소각 의무화가 법제화되려는 움직임이 뚜렷해지고 있는 가운데 EB, 즉 교환사채 발행에 나서는 상장사가 늘고 있습니다. 자사주를 소각하기보다 자금 조달에 활용하거나, 우호 지분을 지키겠다는 의도인데요. 주주들은 자사주 소각을 피하려는 꼼수가 아니냐는 지적입니다. 김효진 기잡니다.

[기자]
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최근 3개월간 기업들이 발행한 교환사채(EB)는 19건. 발행 금액으로는 1조957억원.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발행 금액이 110.7% 증가했습니다.

지난 2일 SK이노베이션이 3767억원이 넘는 교환사채(EB)를 발행하고, 14일에는 SNT다이내믹스가 1100억원 규모의 교환사채(EB)를 발행하는 등 대규모 교환사채(EB) 발행이 급격히 늘어났습니다.

이처럼 상장사들이 교환사채(EB) 발행을 늘리는 이유는 자사주 소각 의무화를 법제화 하려는 움직임 때문.

자사주 소각 의무화가 법제화되기 전 경영권 분쟁 시 활용할 수 있는 우군 지분을 확보해놓으려는 겁니다. 아울러 자사주를 소각해 주주환원을 높이기 보다 자금조달에 활용하겠다는 의지로도 해석됩니다. 

교환사채(EB)를 발행하면 자사주 지분을 제3자에게 넘기는 효과가 발생하고, 제3자가 채권을 주식으로 교환하는 교환권을 행사하면 의결권이 부활합니다. 

[싱크] 김필규 /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
 “우리(나라)는 이제 그 자사주 자체를 우호 지분의 형태로 가지고 가는 상황이어서”
“기왕 지니고 있는 것들을 소각시키지 않는 방향으로 교환사채를 대개 활용한다…”

기업들은 자사주를 소각하면 경영권 분쟁 시 우군에게 넘길 수 있는 지분이 줄어 지배력이 떨어져 경영권 방어가 어렵다는 의견. 자사주 소각을 피하기 위해 법제화 돌입 전 대규모 교환사채(EB)를 발행하며 자사주 비율을 낮추는 모습입니다.

하지만 이 같은 교환사채(EB) 발행은 자사주 소각 의무화의 원래 목적인 자본시장 밸류업과는 일치하지 않습니다. 자사주를 소각하면 통상 즉각적인 주가 상승 효과가 발생하는데, 교환사채(EB) 발행은 이같은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이에 주주들은 “자사주 소각을 피하기 위한 꼼수가 아니냐”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서울경제TV 김효진입니다. /hyojeans@sedaily.com


[영상편집 유연서]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전체보기

기자 프로필 사진

김효진 기자

hyojeans@sedaily.com 02) 3153-2610

이 기자의 기사를 구독하시려면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