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금융, 상반기 최대 실적…'비은행 강화'는 과제
금융·증권
입력 2025-08-12 17:25:35
수정 2025-08-13 11:00:49
이연아 기자
0개

[앵커]
함영주 하나금융그룹 회장 2기 체제에서는 비은행 강화가 가장 중요한 과제가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하나금융은 상반기 기준 최대 실적을 기록했지만, 함 회장이 강조한 비은행 수익 기여도는 오히려 뒷걸음질 쳤습니다. 이연아 기자입니다.
[기자]
함영주 하나금융그룹 회장이 올해 3월 연임에 성공하면서 2기 체제 막이 오른 지 4개월이 지났습니다.
하나금융은 올해 상반기 2조3010억원의 당기순이익을 시현하며 반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지만, 수익 포트폴리오 다각화는 난항을 겪고 있습니다.
함 회장은 3월 주주총회를 앞두고 자사 유튜브에 출연해 2027년까지 총주주환원율을 50%까지 늘리고, 비은행 수익 기여도를 30%까지 끌어올리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한 바 있습니다.
하지만, 올해 상반기 하나금융그룹의 당기순이익을 계열사별로 보면, 비은행 계열사 순익이 큰 폭으로 감소했고, 오히려 은행 순익 기여도가 커졌습니다.
계열사별 전년 동기 대비 순익을 비교해 보면, 하나은행은 19.1% 늘었지만, 하나캐피탈은 86.5%, 하나증권 18.6%, 하나카드 5.5% 감소하며 수익 다각화 발목을 잡았습니다.
하나금융의 비은행 기여도는 2018년부터 상승세를 그리며 2021년 32.9%로 최대치를 기록했지만, 이후 감소세로 전환하며 반등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비은행 기여도가 15.7%로 올라갔지만, 올해 다시 12.0%로 떨어졌습니다.
이미 올해 초 함 회장은 "자생 기반이 마련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M&A는 불필요할 뿐만 아니라, 오히려 조직에 심각한 부담과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며 무리한 인수합병을 진행하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밝히면서, 일각에서는 비은행 강화 전략에 대한 구체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합니다.
이와 함께 그룹의 은행 수익 기여도가 90%에 육박하지만, 이재명 정부 내 포용금융과 생산적 금융에 대한 주문에 따른 은행 순익 감소도 예상되는 상황이라 중장기적 수익 구조 전략 재편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기됩니다.
서울경제TV 이연아입니다. / yalee@sedaily.com
[영상편집: 유연서]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미래에셋證, 임직원 가족 초청 ‘패밀리 페스티벌’ 확대 개최
- '주담대 승부수' 토스뱅크…정부 규제가 최대 변수
- 천정부지 코스피에…증권사, 실적·주가 '양날개'
- “고파이 해결하라”…국감 도마 오른 바이낸스
- 케이지에이, 평택 신공장 준공…내달 말 입주 예정
- 인포스탁, '맞춤형 ETF투자정보서비스' 선봬…ETF 80개 테마로 분류
- 이찬진 금감원장 "'삼성생명 일탈회계' 논란, 국제기준 맞춰야"
- 엔바이오니아, '메타아라미드페이퍼 제조기술' 대한 국가핵심전략기술 획득
- IBK기업은행, 퇴직연금 '로보어드바이저 일임서비스' 제휴사 확대
- 신한은행, 21일 '오락실 적금' 사전예약 접수 시작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가을, 경주가 황금빛으로 물든다. . .경주시, ‘2025 황금카니발’ 개최
- 2한국수력원자력, 저선량방사선의 퇴행성관절염 치료 효과 입증
- 3대구시, 신혼부부 전세자금 대출이자 지원금 11월 1일부터 접수
- 4대구시의회 육정미 의원 "대구시 금고 운영… 투명성과 효율성 강화 필요"
- 5이영애 대구사의원, '대구시교육청 올바른 국어 사용 조례안' 대표 발의
- 6대구시의회, 엑스코 사업 분야 확대로 경쟁력 제고 나서
- 7포항시의회 의원연구단체 '블루오션', ‘민간공원 특례사업 초과이익 환수 정책 세미나’ 개최
- 8김진태 지사, 국토교통부 장관 만나 ‘제5차 국가철도망’신규사업 반영 적극 건의
- 9해남군, 솔라시도에 국가 AI컴퓨팅센터 유치 확정 발표만 남아…삼성 SDS 컨소시엄 단독 응모
- 10고창군-서울시 청소년, 문화유산으로 이어진 '우정의 다리'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