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금융, 상반기 최대 실적…'비은행 강화'는 과제
금융·증권
입력 2025-08-12 17:25:35
수정 2025-08-13 11:00:49
이연아 기자
0개

[앵커]
함영주 하나금융그룹 회장 2기 체제에서는 비은행 강화가 가장 중요한 과제가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하나금융은 상반기 기준 최대 실적을 기록했지만, 함 회장이 강조한 비은행 수익 기여도는 오히려 뒷걸음질 쳤습니다. 이연아 기자입니다.
[기자]
함영주 하나금융그룹 회장이 올해 3월 연임에 성공하면서 2기 체제 막이 오른 지 4개월이 지났습니다.
하나금융은 올해 상반기 2조3010억원의 당기순이익을 시현하며 반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지만, 수익 포트폴리오 다각화는 난항을 겪고 있습니다.
함 회장은 3월 주주총회를 앞두고 자사 유튜브에 출연해 2027년까지 총주주환원율을 50%까지 늘리고, 비은행 수익 기여도를 30%까지 끌어올리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한 바 있습니다.
하지만, 올해 상반기 하나금융그룹의 당기순이익을 계열사별로 보면, 비은행 계열사 순익이 큰 폭으로 감소했고, 오히려 은행 순익 기여도가 커졌습니다.
계열사별 전년 동기 대비 순익을 비교해 보면, 하나은행은 19.1% 늘었지만, 하나캐피탈은 86.5%, 하나증권 18.6%, 하나카드 5.5% 감소하며 수익 다각화 발목을 잡았습니다.
하나금융의 비은행 기여도는 2018년부터 상승세를 그리며 2021년 32.9%로 최대치를 기록했지만, 이후 감소세로 전환하며 반등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비은행 기여도가 15.7%로 올라갔지만, 올해 다시 12.0%로 떨어졌습니다.
이미 올해 초 함 회장은 "자생 기반이 마련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M&A는 불필요할 뿐만 아니라, 오히려 조직에 심각한 부담과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며 무리한 인수합병을 진행하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밝히면서, 일각에서는 비은행 강화 전략에 대한 구체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합니다.
이와 함께 그룹의 은행 수익 기여도가 90%에 육박하지만, 이재명 정부 내 포용금융과 생산적 금융에 대한 주문에 따른 은행 순익 감소도 예상되는 상황이라 중장기적 수익 구조 전략 재편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기됩니다.
서울경제TV 이연아입니다. / yalee@sedaily.com
[영상편집: 유연서]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NH농협은행, 영국 런던지점 개점식 개최…"글로벌 IB 도약 요충지"
- 부실 코스닥社, 주주배정 증자 잇따라…'개미 무덤' 될라
- 은행권, 아시아 넘어 유럽으로…글로벌 사업 확대 박차
- '가교보험사' 예별손보 출범…계약이전·매각 동시 추진
- 새내기 조선株 두 곳, 상장 한달 안팎 나란히 '공모가 상회'
- 10대 증권사 '해외주식 수수료 수익' 1조원 육박…전년비 60%↑
- 증권사, 상반기 해외주식 수수료 1조 육박
- 은행 부실채권 규모 고공행진 지속…NPL 시장 활황
- 카카오페이, 보험 적자·오버행 리스크 ‘이중고’
- IBK기업은행, 소상공인 위기극복 지원…7.5조원 규모 특별지원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5년 앞으로 다가온 오사카 카지노, 강원랜드의 생존 전략은?
- 2포항시, 동방경제포럼서 영일만항 북극항로 대응 전략 모색
- 3포항시, 경북 무형유산대전서 우수 전통문화 가치 전해
- 4포항시,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금융지원 본격화
- 52025 영천문화제,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시민 화합 무대
- 6경주지역자활센터, 보건복지부 평가 ‘우수기관’선정
- 7경주시, ‘월드음식점 150곳’ 선정…APEC 손님맞이 준비 박차
- 8경주시민 10명 중 8명 “시정 만족”…민선 8기 3주년 성과 확인
- 9김천시새마을회, 2025 새마을 환경 페스타 성황리 개최
- 10LH, 땅 안 팔고 직접 짓는다…공공이 공급 중심으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