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홀딩스, 5000억 규모 셀트리온 주식 매입…"주주가치 제고 목적"
경제·산업
입력 2025-09-08 10:11:54
수정 2025-09-08 10:11:54
김민영 기자
0개
2620억원 규모 취득 직후 1250억원 규모 매입 단행
美 생산시설 인수…관세 우려 해소 및 지속성장 기대

[서울경제TV=김민영 인턴기자] 셀트리온그룹 지주회사인 셀트리온홀딩스는 5000억원 규모의 셀트리온 주식 장내 매입에 속도를 내고 있다고 8일 밝혔다.
홀딩스는 지난 달 7일부터 이달 5일까지 셀트리온 주식 약 2620억원 규모의 장내 매수를 완료하고, 1250억원 규모의 추가 주식 취득에 나섰다고 공시했다. 주식 취득은 장내 매수 방식으로 10월 10일부터 11월 7일까지 이뤄질 예정이다.
이번 매입 결정은 지난 7월 회사의 수익성 개선 및 자회사 기업가치 제고를 위해 5000억원 규모의 셀트리온 주식 매입을 진행하겠다고 밝힌 것에 대한 후속 조치로 이뤄졌다. 셀트리온의 추가 지분 확보를 통해 예상되는 배당 확대 등으로 지주사의 수익성 개선을 도모하고, 내재 가치보다 과도하게 저평가된 자회사 주주가치 제고에 지주사가 힘을 보탠다는 방침이다.
특히 홀딩스는 당초 예정된 1차 매입금액 2500억원보다 많은 2620억원 규모의 셀트리온 주식 장내 매입을 이미 완료하고, 그 직후에 1250억원 규모의 추가 매입을 단행했다. 홀딩스는 지난 4월에도 1000억원 규모의 주식 취득 계획을 발표한 후 1240억원 규모의 주식을 취득한 바 있다.
홀딩스는 앞으로도 주가 변동성에 대응하며 주주들과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 앞서 예고한 5000억원 규모까지 셀트리온 주식을 추가 취득할 방침이다. 시장의 저평가가 지속될 경우 자회사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추가적인 자금 투입도 검토할 예정이다.
홀딩스는 이 같은 주주가치 제고와 지주사의 사업구조 개편을 위해 앞서 1조원 규모의 신규 재원을 확보한 바 있다.
이후 셀트리온의 기업가치 저평가가 완화되고 대외 불확실성이 해소됐다고 판단되면 지주사의 사업구조 개편 가속화와 자본 효율성 제고를 위해 신규 매입분의 매각을 추진, 유동성 확보에 나설 계획이다. 해당 매각 작업은 시장 부담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이번 신규 매입분 외 홀딩스가 기존에 보유한 주식은 매각하지 않고 장기보유를 이어가기로 했다.
이 밖에도 홀딩스는 사업구조 개편을 통해 지주사로서 자본 생산성과 경영 효율화를 극대화할 방침으로, 가치가 높은 국내외 기업과 인수합병을 포함해 순수 지주사에서 사업 지주사로 전환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 중에 있다.
셀트리온그룹 관계자는 “홀딩스의 사업 지주사 전환을 위한 로드맵에 맞춰 수익성과 경영 효율화를 극대화하고자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며 “셀트리온은 내재된 기업가치에 비해 저평가되는 측면이 있고 미래 성장 가능성이 높아 이번 자회사 주식 매입이 지주사의 미래 성장 동력 확보와 함께 그룹의 안정적인 성장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셀트리온은 올 하반기 미국 의약품 관세 이슈 완전 해소와 지속 성장에 대한 시장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 셀트리온은 미국에 위치한 바이오의약품 생산시설 인수의 본계약을 앞둔 상황으로, 최종 인수 절차가 마무리되면 미국서 판매 중인 주력 제품들을 현지에서 바로 생산하며 의약품 관세를 완전히 회피할 수 있게 된다.
실적 측면에서도 고수익 신규제품군 중심 포트폴리오 최적화에 따라 매출 및 이익이 동반 성장하며 합병 이후 분기 최대 영업이익을 경신, 하반기에도 글로벌 주요 시장을 타깃으로 고마진 신규제품 출시와 시장 확대를 도모하며 가파른 성장세를 실현한다는 계획이다. /melissa6888@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씨앤씨인터내셔널, ‘화장품의 날’ 식품의약품안전처장 표창 수상
- 한국에너지공단, ‘에너지 취약계층 함께 돌봄’ 거버넌스 구축
- 반원익 “인도 시장, 중견기업 글로벌 성장 교두보 돼야”
- 한국토요타자동차, 올웨이즈 위드 렉서스·토요타 서비스 캠페인
- 중진공, '2025 대한민국 글로벌 소싱위크' 성료
- 소상공인연합회, 중기부 소상공인 전담 차관 신설 "적극 환영"
- 유니켐, 배우 팬덤 플랫폼 하이앤드 61억원에 인수
- 韓-伊 비즈니스 포럼 개최…녹색경제·스마트 모빌리티 협력 논의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2700억 폭발물탐지제거로봇 양산 계약
- BMW 코리아, ‘프리즈 뮤직 2025’ 성료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