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역대급 조직 개편…금융권 혼란 속 분주
금융·증권
입력 2025-09-08 18:10:25
수정 2025-09-08 18:10:25
이연아 기자
0개

[앵커]
어제(7일) 정부가 조직 개편안을 발표했는데, 금융당국의 대대적 변화가 예고됐습니다. 금융위원회가 해체되고 18년 만에 금융감독위원회가 부활하는 등 금융 정책·감독 업무가 총 4개 기관으로 분리 개편됩니다. 금융당국은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고, 금융권은 혼란스러운 분위기입니다. 이연아 기자입니다.
[기자]
정부가 어제(7일) 고위당정협의를 거쳐 발표한 정부조직 개편방안은 금융당국의 대대적 개편이 예고됐습니다.
2008년부터 유지된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의 금융정책과 감독 업무가 재정경제부, 금융감독위원회, 금융감독원, 금융소비자보호원 등 총 4개 기관으로 분리 개편됩니다.
먼저, 국무총리 소속으로 신설되는 기획예산처가 기획재정부의 예산편성, 재정기획 업무를 맡게 됩니다. 금융위원회의 국내금융 업무는 재정경제부가 맡고, 금융위의 감독업무는 18년 만에 부활한 금융감독위원회로 이관됩니다. 또, 금감위 내 증권선물위원회와 금융소비자보호위원회가 설치됩니다. 이어, 16년 만에 공공기관으로 재지정되는 금융감독원은 감독업무를 담당하고, 금감원 내부 조직이었던 금융소비자보호처가 별도 조직인 금융소비자보호원으로 신설됩니다.
개편 대상인 금융당국은 내부적으로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는데, 금융위는 해체 후 재경부 흡수, 금감원은 공공기관 지정을 통한 독립성 약화 등을 이유로 어수선한 분위기입니다.
금융권에서는 4개 당국 출범에 따른 소통 창구 혼선, 중복 업무, 이중제재 가능성 등을 우려하며, 업권별 신사업 추진을 멈추고 정치권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시행 초기부터 명확한 업무분담을 진행하고, 모호할 경우 업무협약 등으로 혼란을 최소화하겠다는 계획이지만, 현장에서는 정책과 감독 업무를 명확하게 분리하기 어렵다는 지적과 함께 정책 추진 동력 약화 가능성을 우려합니다.
일각에서는 이재명 정부가 추진 중인 생산적금융과 포용금융, 가계부채 관리와 배드뱅크 설립, 코스피지수 5000달성 등 핵심 정책의 공회전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내년 1월부터 기획예산처, 재경부, 금감위 개편을 시행하겠다는 계획이지만, 벌써부터 야당이 강력하게 반발함에 따라 정부조직법 외에 금융위설치법 등 관련 법률 개정부터 난항을 겪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서울경제TV 이연아입니다. / yalee@sedaily.com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코스피 시총 지각변동…조·방·원이 상위권 꿰찼다
- '신뢰 위기' 새마을금고, 행안부 감독 한계 도마에
- 신용카드학회, 22일 포럼…캐피탈사 혁신·비전 논의
- 데이터젠·와이콘즈, K-OTC시장 신규등록
- 이락범 前 한류타임즈 회장, 내달 22일 선고 공판…상폐 책임 규명
- NH證, ‘N2 트러스트웨이 유언대용신탁’ 출시
- 키움증권, 리서치·운용 노하우 담은 ‘미국주식 키움리서치랩’ 출시
- 씨피시스템, 주요 조선사에 '특수케이블체인 공급·시공계약' 체결
- 케이쓰리아이, 산업용 로봇 확보…"로봇 실증 테스트 기반 마련"
- 유니온바이오메트릭스, '얼굴인식 등록정보 업데이트 기술' 특허 취득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이숙자 남원시의원, '자랑스러운 인물대상' 지방의정 부문 대상 영예
- 2민병덕 의원 "홈플러스 사태 정상화에 정치권 즉각 개입해야"
- 3심덕섭 고창군수, 고구마 수확 현장 방문…일손돕기 '구슬땀'
- 4부천영상문화산업단지, 계획 반복...발목
- 5기장군, 사회복지의 날 기념식…9월 1~12일 '기장 사회복지 주간' 운영
- 6“韓 경마 자존심 지켰다”…코리아컵·스프린트 개최
- 7코스피 시총 지각변동…조·방·원이 상위권 꿰찼다
- 8'신뢰 위기' 새마을금고, 행안부 감독 한계 도마에
- 9‘섬유·석화 부진’ 태광산업…애경산업 품고 위기 돌파
- 10폐암약 ‘렉라자’, ‘타그리소’와 승부…약값이냐 내성이냐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