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구금 한국인 태울 전세기, 현지 11일 정오 출발"
경제·산업
입력 2025-09-11 08:42:36
수정 2025-09-11 08:42:36
오동건 기자
0개

[서울경제TV=오동건 인턴기자] 미국 조지아주에서 미 이민당국에 체포·구금된 한국인 300여명을 태우고 귀국할 전세기가 11일(현지시간) 정오 이륙해 한국으로 향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10일 구금된 한국인들의 귀국 관련 사정에 정통한 소식통에 따르면 이들은 11일 새벽 2∼4시께 포크스턴 구금시설 등에서 출발, 전세버스를 나눠 타고 하츠필드-잭슨 애틀랜타 국제공항으로 이동할 예정이다. 포크스턴 구금시설에서 애틀랜타 공항까지의 거리는 약 430㎞로, 일반 승용차로는 약 4시간 30분가량이 걸린다.
다른 소식통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300명이 넘는 인원이 동시에 이동해야 하는 만큼 8대가량의 버스에 나눠 타게 될 것"이라며 "일반 차량보다는 천천히 이동할 수밖에 없어 이동 시간이 더 늘어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이날 오전 애틀랜타 공항에 도착하는 대로 대기 중인 전세기에 탑승, 같은 날 정오께 한국으로 출국할 예정인 것으로 파악됐다. 앞서 이들을 태우기 위한 대한항공 전세기 KE2901편은 10일 오전 10시9분 애틀랜타 국제공항에 착륙했다. 대한항공 측은 협상 진행 상황 등을 지켜보며 구금된 이들이 풀려나는 대로 이륙할 준비를 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해당 전세기는 총 368석을 갖춘 B747-8i 기종으로, 전세기 왕복 운항에 드는 10억원 안팎의 비용은 LG에너지솔루션 측이 부담할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인 300여명은 조지아주 엘러벨의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에서 지난 4일 이뤄진 미 이민당국의 불법 체류 및 고용 전격 단속에서 체포돼 포크스턴 구금시설 등에 억류돼 왔다.
이들은 애초 이날 구금 시설에서 풀려나 '자진 출국' 형태로 전세기를 타고 귀국하기로 예정돼 있었지만, '미국 측 사정' 탓에 갑작스럽게 석방이 지연됐다. 이에 따라 이날 오후 2시30분 애틀랜타 공항을 이륙할 예정이던 귀국 항공편도 덩달아 연기됐다. 이날 출발이 연기된 것은 수갑 등 신체적 속박 조치와 관련한 세부 조율 문제가 남았기 때문으로 전해졌다.
외교부에 따르면 한국인 구금 사태 해결을 위해 방미 중인 조현 외교부 장관은 이날 백악관에서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을 만난 자리에서 이들이 신체적 속박 없이 신속히 귀국하고 향후 미국 재입국에 불이익이 없게 해달라고 요청했고, 미국 측으로부터 긍정적 답을 받았다.
이에 루비오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 측이 원하는 바대로 가능한 이뤄질 수 있도록 신속히 협의하고 조치할 것을 지시했다"라고 말했다고 외교부는 전했다. /oh19982001@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비오팜, 에스오디랩과 차세대 건강기능식품 연구개발 MOU
- “동일토건·대원도 합류”…삼성물산 홈플랫폼 ‘홈닉’, 건설업계 확산
- CJ푸드빌, 인도네시아 ‘2025 바즈나스 어워드’ 2년 연속 수상
- 혼다, '2025 재팬 모빌리티 쇼'서 모빌리티 제품·기술 공개
- CJ프레시웨이, 제4회 ‘자연스럽게 먹자’ 식습관 공모전 성료
- 도플소프트 ‘스마트무브’, 한강버스 실시간 길찾기 등 업데이트
- 삼성SDS, ‘AI 풀스택’ 역량으로 기업 고객 혁신 이끈다
- 르노코리아 그랑 콜레오스 구매 고객 95% "차량 만족해"
- LG전자, 식수 시설·세탁방 설치…나이지리아서 밀착형 사회공헌
- 증선위, SK에코플랜트 회계위반 '중과실' 판단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남원시의회 자치행정위 "지역민 삶에 실질적 도움 되는 정책 필요"
- 2양충모 전 새만금개발청장, 자전적 저서 '남원가는길 양충모' 출간
- 3비오팜, 에스오디랩과 차세대 건강기능식품 연구개발 MOU
- 4“동일토건·대원도 합류”…삼성물산 홈플랫폼 ‘홈닉’, 건설업계 확산
- 5대구대, AI·SW 분야 과감한 교육 투자로 미래형 인재 양성 박차
- 6영남대, AI 튜터 도입으로 ‘초개인화 학습 혁신’ 앞당긴다
- 7영남이공대, 2025학년도 ‘지역사회봉사센터 봉사단’ 발대식 개최
- 8대구한의대, 진로개발센터 2025학년도 학과별 현장연계 교육과정 기린도전학기 발대식
- 9차규근 의원, 총수일가 문어발식 보수수령 제한하는 법인세법 발의
- 10CJ푸드빌, 인도네시아 ‘2025 바즈나스 어워드’ 2년 연속 수상
댓글
(0)